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이하 학력평가)에서 고3 수험생이 과학탐구와 사회탐구를 각각 1개씩 선택하는 '사탐런' 현상이 지난해에 비해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서울중등진학지도연구회(연구회)가 31일 공개한 '2025학년도 시행 고3 3월 학력평가 가채점 분석' 결과를 보면 과학 두 과목 대신 사회탐구와 과학탐구를 각각 1과목씩 선택한 학생은 17.9%로 추정됐습니다.
이는 지난해 3월 치러진 학력평가에 비해서는 12.9%p, 2025학년도 수능보다는 5.3%p가량 늘어난 것입니다.
3월 학력평가에서 미적·기하를 선택한 학생 중 13.5%, 확률통계 선택 학생 중 4.4%가 이런 선택을 했습니다.
연구회 관계자는 "작년 수능에서 탐구 과목 점수 분포가 사회탐구를 선택했을 때 불리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사·과탐 응시를 준비한 학생이 늘어난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습니다.
일부 대학을 제외하고 필수 응시 과목이 폐지됨에 따라 지난 겨울방학부터 사회탐구 응시를 준비한 고3 학생이 늘었을 것이라고도 설명했습니다.
수학에서도 이번 3월 학력평가에서 미적분을 선택한 비율은 지난해 3월 학력평가에 비해 4.1%p 감소한 48.6%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수학의 등급별 선택과목 비율을 살펴보면 미적분 선택 학생의 1, 2등급 비율은 여전히 높았습니다.
이번 3월 학평에서 수학영역 1등급을 받은 학생 중 미적분을 선택한 학생이 93.9%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2등급도 83.2%가 미적분을 선택했습니다.
이번 학력평가에서 영어가 상대적으로 어렵게 출제됐는데, 이에 전반적인 수능최저기준 충족률은 작년 3월 학력평가에 비해 낮았다고 연구회는 설명했습니다.
2026학년도 수능은 2007년 출생 황금돼지띠 학생이 지원함에 따라 재학생 수험생이 4만명 이상 증가할 것으로 연구회는 예상했습니다.
이 와중에 2026학년도 대입 의대 정원 결정이 늦어짐에 따라 지난해와 같이 올해도 입시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연구회 관계자는 "의대 증원은 반수생 인원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번 3월 학력평가로 대입을 예단하기보다는 실제 졸업생들이 응시하는 6월 평가원 모의평가 성적을 상세하게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임광빈(june80@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