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00:00
00:00
내일(4일)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윤석열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할 수도, 조기 대선이 치러질 수도 있습니다.
정부와 정치권은 선고 결과에 따라 전혀 다른 일정과 과제를 받아들게 되는데요.
조한대 기자가 '포스트 탄핵' 정국 시나리오를 미리 정리했습니다.
[기자]
윤 대통령이 파면될 경우, 대선은 헌재 선고로부터 60일 이내에 치러져야 합니다.
만약 조기 대선이 현실화한다면, 그 날짜는 60일을 꽉 채운 6월 3일이 유력하게 거론됩니다.
선거일을 6월 3일로 가정하면, 각 당은 다음달 11일까지 선관위에 후보 등록을 마치고, 그 다음날인 12일부터 선거운동에 돌입하게 됩니다.
우선 야권에서는 탄핵 정국에서 몸을 푼 비명계 주자들이 민주당 이재명 대표에게 도전하는 구도가 펼쳐질 전망입니다.
이 대표가 여론조사 선두를 달리는 데다, 공직선거법 2심 무죄로 사법리스크를 덜어낸 만큼 가장 앞서 있는 것만은 분명해 보입니다.
국민의힘은 아직 공식적으론 '조기 대선'에 거리를 두고 있지만,
<권성동/국민의힘 원내대표(지난 2일)> "여러분들도 아시다시피 탄핵에 반대하고 탄핵소추의 기각이 저희 당의 당론입니다. 우리 당의 당론입니다."
헌재 결과에 승복하겠단 입장을 밝힌 만큼, 인용 시 곧바로 여권 잠룡들 간 치열한 각축전이 벌어질 전망입니다.
하지만, '기각·각하' 결정이 나온다면 전혀 다른 그림이 펼쳐집니다.
일단 윤 대통령은 직무정지 111일 만에 즉각 업무에 복귀해 국정을 지휘하게 됩니다.
다만 탄핵심판 최종 변론에서 "대통령은 대외관계에 치중하고 대내문제는 총리에게 대폭 권한을 넘길 생각"이란 구상을 밝힌 만큼 내치보다는 외치에 주력할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책임총리제가 정말로 실현될지 관심인데, 야권에서 거센 반발이 예상됩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지난달 31일)> "다시 윤석열이 복귀하는 것은 곧 제2의 계엄을 의미하는 것일테고, 우리 국민들은 저항할 것이고, 충돌은 피할 수 없을 것입니다."
윤 대통령이 최종변론에서 던진 또 하나의 화두인 '개헌'도 정치권을 휩쓸 전망입니다.
"잔여 임기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한 만큼 정부와 여당이 임기단축 개헌론을 띄울 가능성이 크지만, 민주당이 여기에 호응할지는 미지수입니다.
연합뉴스TV 조한대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조한대(onepunc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