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00:00
00:00
여야 모두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결과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신속한 선고를 촉구하고 있지만 정치적 속내는 전혀 다른데요.
국회 연결해 자세한 상황 알아봅니다.
장윤희 기자, 3월 마지막날 정국 움직임 전해주시죠?
[기자]
네, 정치권은 더 이상의 혼란은 없어야 한다는 이유로 신속한 선고를 촉구하고 있지만, 여야의 정치적 속내는 제각각인 모습입니다.
민주당은 헌법재판소가 오늘 당장 선고기일을 지정하고, 내일 바로 파면 선고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정치권 일각에서 대통령 추천 몫 헌법재판관 2명의 임기 만료일인 4월 18일까지 헌재 선고가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거론된 상황인데요.
현재 8인 재판관 체제에서 '5대 3 기각' 또는 '각하'가 나올 수 있다는 시나리오까지 나오자, 민주당의 헌재 압박 강도는 최고조로 올라갔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헌법재판소의 신속한 결단을 다시 한번 부탁드립니다. 개인이나 집단, 세력의 이해관계가 아니라 국민과 국가, 그리고 역사를 생각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헌재에 신속한 선고를 촉구한 것은 국민의힘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인용이 아닌 기각 또는 각하를 촉구하는데요.
국민의힘 지도부 회의에서는 헌재에 신속 선고를 촉구하는 발언이 처음으로 나와 관심을 모았습니다.
<권영세/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제 헌법재판소가 결단을 내려야 할 때입니다. 문형배 권한대행은 더 이상 시간을 끌지 말고 헌법재판관 한 사람 한 사람의 결정에 따라 조속히 판결을 내려야 합니다."
나경원 의원 등 여당 의원 30여명은 국회에서 토론회를 열고, 헌법재판소에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기일을 신속히 지정하라며 기각·각하 결정을 촉구하는 결의안 발표도 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보면 여권에서는 탄핵심판 초반과 달리 헌재의 조속한 선고를 바라는 기류가 강해진 모습입니다.
기각 또는 각하에 대한 여권 내 기대감이 커졌다는 게 그 배경으로 꼽힙니다.
[앵커]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등 문제를 두고도 여야는 연일 대립각을 세우고 있지요?
[기자]
그렇습니다.
민주당 지도부는 내일(1일)까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마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으면 '중대 결심'을 하겠다며, 사실상 재탄핵을 시사한 상태입니다.
이에 맞서 국민의힘은 '마 후보자 미임명 시 국무위원 줄탄핵'을 주장한 민주당 초선 의원 전원을 비롯해 이재명 대표 등을 내란음모ㆍ내란선동죄로 오늘 오후 고발했습니다.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가 한덕수 대행에게 전화와 문자 메시지로 긴급하게 뵙고 싶다고 여러차례 전했지만 답을 받지 못했다고 공개했는데요, 한 대행 측은 통상전쟁 대응, 이재민 지원 대책 지휘가 우선이라며 사실상 회동 거부 의사를 밝혔습니다.
여야는 퇴임이 다가오는 문형배·이미선 재판관 후임 문제를 놓고서도 충돌했는데요.
여권에서 두 재판관 후임 지명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한 대행 탄핵소추안을 발의할 경우, 4월 18일 임기가 만료되는 두 재판관의 후임자 지명 문제를 협의하겠다며 이를 공식화했습니다.
같은 시각 야당에선 대통령 권한대행이 대통령 몫 재판관을 임명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의 헌재법 개정안을 발의했고,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 법안도 여당 반발 속에 야당 주도로 법사위 소위를 통과했습니다.
이렇듯 마 후보자 임명 문제와 한 대행 탄핵 가능성 등 민감한 정치 쟁점들이 얽히면서, 여야는 오늘 진행된 추경 협상에서도 뾰족한 합의는 이루지 못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연합뉴스TV 장윤희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윤희(eg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