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00:00
00:00
[앵커]
하루가 멀다하고 터져나오는 끔직한 아동학대 사건.
늘 이번이 참극의 끝이길 바라지만, 어딘가에서 비슷한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우려는 가시지 않습니다.
정부는 오늘부터 학대의심 아동을 전수조사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팽재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교육부는 지난 1월부터 학교에 다닐 연령이 됐는데도 실제 입학하지 않은 미취학 아동에 대해 전수조사를 벌여왔습니다.
<이준식 /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아동에 대한 체벌은 교육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범죄라는 인식이 확산되도록 하겠습니다."
조사 진행 과정에서 학교 측이 원영이의 존재를 알게 됐고 안타까운 사건이 세상에 알려질 수 있었습니다.
정부가 추정하고 있는 초·중학교 미취학 아동은 2천명 정도.
교육부는 미취학아동의 학대 여부를 조사하면서 장기결석 학생의 안전도 살펴보고 있습니다.
이보다 낮은 연령대인 4~6세 영유아에 대한 학대 여부는 보건복지부가 점검하고 있습니다.
국내에 거주하면서 출생 이후 당연히 받아야 할 예방접종과 건강검진을 받지 않은 영유아는 810명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정부는 오늘부터 이들을 대상으로 가정 방문을 하고 부모·아동 면담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만약 보호자가 방문 자체를 거부하거나 정당한 이유 없이 아동이 집에 없을 경우 즉각 경찰에 신고할 방침입니다.
<방문규 / 보건복지부 차관> "아동 안전 등 양육 환경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학대 의심이 있는 경우 경찰과 지역 아동 보호 전문기관에 신고를 하게 되겠습니다."
정부는 이어 4세 이하 아동으로 점검 범위를 넓힐 예정이며 올해 말까지 학대 위험이 큰 고위험 아동을 지원할 수 있는 법적 근거도 마련할 계획입니다.
이번 저인망식 조사와 지원을 통해 참혹한 아동학대가 근절되고 사각지대에 있는 아동이 더는 없기를 온국민은 기대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팽재용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