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00:00
00:00
[앵커]
기후변화에 해를 거듭할수록 대형화하는 산불과 달리 여전히 제자리인 대응 체계가 이번 산불 피해를 더욱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첨단 장비를 도입하고 전문 진화대원을 육성하는 등 현재의 산불 대응 체계를 완전히 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이상현 기자입니다.
[기자]
이번 경북 의성 산불 현장에는 50대가 넘는 헬기가 투입됐지만 불의 확산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습니다.
부족한 전문 인력과 60대가 넘는 고령의 진화대원, 열악한 장비 등 곳곳에서 구멍이 드러났습니다.
산림당국이 매년 산불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하며 일찌감치 산불의 연중화와 대형화를 예고했지만, 대응 방식은 제자리였습니다.
똑같은 피해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이제라도 산불 대응 체계를 현실화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전문가들은 우선 장비의 최신화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야간 진화가 가능한 대형 드론과 담수량이 많은 고정익 항공기 도입이 시급한 과제로 꼽히고 있습니다.
진화대원들의 부담을 덜어줄 보조 장비와 무인 로봇 등 최첨단 장비에도 과감한 투자가 요구됩니다.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문 인력 육성도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강호상 / 서울대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교수> "보호 우선순위를 충분히 인지하고 어떻게 제대로 산불진화를 할지를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그런 산불 진화 훈련, 예컨대 그런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준비해서 본격적으로 들어가야 하지 않을까…"
부족한 임도 역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헬기가 뜰 수 없는 밤 시간 진화를 위해서는 임도가 필수지만 우리나라의 ha당 임도 길이는 4.1m로 오스트리아와 독일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합니다.
실제로 울산 울주군에서는 산불 2건이 비슷한 시기에 발생했는데, 정상까지 임도가 개설된 언양읍은 20시간 만에 꺼졌지만, 임도가 부족한 온양읍은 엿새가 걸렸습니다.
<이시영 /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명예교수> "화세가 약해지면 임도를 통해서 올라가서 잔불을 정리하고 뒷불을 정리하는 그런 시스템이 지상하고 공중하고 같이 합동으로 이뤄져야하기 때문에 임도의 개설은 매우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자체와 소방당국, 산림청으로 나뉘어 있는 지휘체계를 일원화 하고 주민 대피 매뉴얼도 새로 수립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역대 최악으로 기록된 이번 영남권 산불은 막대한 피해뿐 아니라 전방위적인 산불 대응 체계 개편이라는 과제도 함께 남겼습니다.
연합뉴스TV 이상현입니다.
#산불 #인력 #장비 #임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상현(idealtyp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