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베트남 정부는 오는 2030년 양국 교역액 1,500억불 달성을 위한 이행방안 등을 점검하고 양국 경제협력 확대 방안을 협의했습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오늘(14일) 베트남 산업무역부를 방문해 응우옌 홍 지엔 산업무역부장관과 제14차 한-베 산업공동위원회와 제8차 한-베 FTA공동위원회를 잇따라 열었습니다.
ADVERTISEMENT
오전에 개최된 산업공동위에서는 2022년 6월 양국 정상회의에서 설정한 2030년까지 양국 교역액 1,500억불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이행방안과 원전, LNG 발전 및 청정에너지 협력 등과 함께 유통분야 국장급 정책회의 재개와 섬유·의류 산업 투자 협력 등에 합의했습니다.
이어서 개최된 FTA 공동위에서는 수출기업의 비용절감과 통관절차 간소화를 위한 FTA 개정을 논의했습니다.
또한 전기안전 인증기관 확대, 농축산물 수출입 품목 확대, 양국 수입규제 현황 등 주요 현안을 점검했습니다.
공동위 개최 이후엔 2030년까지 양국 교역액 1,500억불 달성을 위한 이행방안 MOU를 체결하고, 원전 협력 MOU에도 서명했습니다.
한국전력도 이 자리에서 베트남 국영 송전회사와 전력망 및 에너지 신산업 분야 MOU를 맺는 등, 무역, 원전 및 전력망·에너지 신산업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한편 안 장관은 오후엔 베트남 하노이 롯데호텔에서 현지 진출기업 간담회를 열고 미국의 베트남에 대한 상호관세 조치에 따른 기업 애로사항을 청취했습니다.
앞서 미국은 베트남에 한국보다 높은 46%의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간담회에는 삼성전자, LG전자, 희성전자, 기은무역, 현대자동차, 신한은행, SK, GS에너지, 한화에너지, 두산 에너빌리티, HS효성, 포스코, 롯데백화점, LGLS일렉트릭, 하나마이크론, 한세실업 등 16개 법인 관계자들이 참석했습니다.
안 장관은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미국 정부는 물론 베트남 정부와도 고위급 회담 및 정부 간 협의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베트남 #상호관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임혜준(junelim@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시각 주요뉴스
경제 최신뉴스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