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2025년형 TV 신제품을 대거 출시하며 진정한 인공지능(AI) TV 시대를 선언했습니다.
AI TV로 사용자의 니즈, 취향, 의도 등을 파악해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
삼성전자는 오늘(7일) 서울 서초구 삼성 강남에서 신제품 출시 행사 '언박스&디스커버 2025'를 개최하고 네오(Neo) QLED 8K·OLED·QLED·더 프레임까지 강화된 AI TV 라인업과 초대형 TV, 이동형 스크린 '무빙 스타일', 초단초점 프로젝터 '더 프리미어 5' 등을 공개했습니다.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은 "삼성이 지향하는 비전 AI는 사용자의 옆에서 일상을 더 쉽고 편리하게 만드는 동반자로서 역할을 하는 것"이라며 "소비자들의 기대를 넘어서 기존의 스크린으로는 하지 못했던 새로운 경험의 세계를 열어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이날 행사에서 신제품 라인업 발표뿐 아니라 연결된 가전을 쉽게 제어하고 콘텐츠 시청 경험을 한 차원 높여주는 AI 경험, 삼성 아트 스토어 확대 등도 설명했습니다.
삼성전자는 AI 사용성을 중심으로 일상을 쉽고 편하게 만드는 AI 홈, AI 어시스턴트, AI 시청 최적화 등 세 가지 기능을 소개했습니다.
AI 홈은 홈 인사이트 기능과 홈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스마트 홈 경험을 한 단계 높였습니다.
홈 인사이트는 사용자의 생활 패턴과 기기 사용 이력, 실내 환경 등을 고려해 '실내 온도가 높으면 에어컨 켜기', '공기 질이 나쁘면 공기청정기 작동' 등 필요한 행동을 추천합니다.
홈 모니터링은 부재 설정 시 이상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실시간 알림을 보내줍니다.
또 AI 어시스턴트에는 시청하는 콘텐츠의 자막을 원하는 언어로 제공하는 '실시간 번역'과 함께 '클릭 투 서치'로 시청 중인 영상과 유사한 콘텐츠 추천 및 출연 배우, 프로그램 관련 정보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저해상도 콘텐츠를 '업스케일링'해 디테일, 입체감, 명암비를 향상시키고, 풍부한 명암비와 실감 나는 색상으로 몰입감을 높이는 '리마스터링' 기능도 적용하는 등 AI 시청 경험을 최적화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올해 AI TV 라인업을 기존 Neo QLED와 OLED에서 QLED와 더 프레임까지 확대했습니다.
작년 9개 시리즈 34개 모델에서 올해 QLED와 더 프레임을 포함해 14개 시리즈 61개 모델로 AI TV 라인업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특히 OLED는 SF90 시리즈에 42형부터 83형까지 라인업을 구축했으며, Neo QLED 기존 최대 화면 크기였던 98형에서 올해 115형, 100형 제품을 새롭게 추가해 초대형 TV의 소비자 선택 폭도 넓혔습니다.
또 기존 스마트 모니터에 무빙 스탠드를 결합한 무빙스타일이 Neo QLED, OLED, QLED, UHD, 더 프레임 등 55형 이하의 삼성 TV로도 확대됐습니다.
아울러 업계 최초로 터치 인터랙션(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더 프리미어 5는 트리플 레이저 기술로 약 43㎝의 짧은 거리에서도 최대 100형 대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와 함께 기존 라이프스타일 TV '더 프레임'에서만 지원되던 삼성 아트 스토어를 2025년형 Neo QLED와 QLED까지 확대합니다.
삼성 아트 스토어는 삼성 TV를 통해 사진, 일러스트 작품부터 유명 미술관 및 갤러리 소장 작품 약 3천점을 4K 화질로 볼 수 있는 구독 서비스입니다.
#삼성전자 #AI_TV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주영(ju0@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