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최악 국가'로 콕 집은 한국…정부, 방미 재추진

경제

연합뉴스TV '최악 국가'로 콕 집은 한국…정부, 방미 재추진
  • 송고시간 2025-04-03 16:21:25
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이른바 '최악 국가'에 포함하면서 우리 정부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본격적으로 정부 간 협상의 시간이 시작될 전망인데 '협상 카드'에 대한 고민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배진솔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 정부가 한국에 26% 상호관세를 적용한다는 발표 직후, 정부는 연속 긴급 대책 회의를 열고 있습니다.

한국엔 '기본 관세'인 10%에 더해 '최악 국가'에 내려지는 '10%+α' 관세가 매겨지면서 놀란 분위기입니다.

FTA를 맺지 않은 일본보다도 높은 청구서를 받았고, FTA 체결국 중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사실상 한미FTA가 백지화된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옵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는 "관세전쟁이 현실로 다가온 매우 엄중한 상황"이라며 "통상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의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우선 정부는 앞으로 협상을 통해 상호관세율과 자동차·철강 등 품목별 관세율을 낮추는데 집중할 예정입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선 관세 부과 후 협상' 입장을 분명히 한 만큼, 이제부터 본격적인 협상 테이블에 앉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미 통상 대응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우선 통상교섭본부장을 포함한 통상 당국자들의 방미 등 긴밀한 협의를 한다는 방침입니다.

자동차, 반도체, 철강 등 업계를 만나 목소리를 듣고 긴급 지원책도 마련합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단판 승부'가 아니라고 강조한 만큼 협상 카드를 들고 갈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측의 '단골 민원'이었던 미국산 소고기 수입 금지나 데이터 국외 반출 제한 등 각종 비관세 장벽을 쟁점화할 가능성이 큽니다.

또 미국이 러브콜을 보낸 조선업 협력과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등도 협상 카드로 거론됩니다.

연합뉴스TV 배진솔입니다.

#트럼프 #관세 #산업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진솔(sincere@yna.co.kr)
close_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