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00:00
00:00
[앵커]
영남권을 말그대로 초토화시킨 이번 산불을 계기로 산림관리 체계를 일원화하고, 산불 발생시 컨트롤타워도 재정립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산불 대응도 소방청이 맡아야한다는 일부 목소리도 있습니다.
이호진 기자입니다.
[기자]
4만8,000여 ㏊.
서울의 80% 면적, 축구장 크기로 환산하면 6만7,000여개에 달하는 산림이 이번 화마에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현재 피해면적이 1,000㏊ 이상 대형 산불의 컨트롤타워는 산림청장입니다.
산불이 처음 발생하면 각 지역 자치단체에서 초기 대응에 나서고, 이후 산불의 영향범위에 따라 산림청이 컨트롤을 하는 방식입니다.
이후 주민 안전 등은 지자체가, 주불 진화 등 대응은 산림청이 맡게됩니다.
또 산불이 국립공원에까지 영향을 미칠 경우 환경부가, 국가유산에 문제가 발생하면 국가유산청이 관여를 합니다.
이렇게 산불대응이 제각각이다보니 초동대처가 늦어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환경부가 관리하는 지리산 등 국립공원의 경우 임도를 낼 수 없고, 수풀이 과밀해 이번 산불 진화 과정에서도 진화에 큰 어려움을 초래했습니다.
<임상섭 / 산림청장(지난29일)> "국립공원 지역이기 때문에 지피의 식생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다른 산하고 굉장히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그 지역 진화의 애를 먹고…"
일각에서는 산불도 소방청에서 컨트롤타워를 맡고, 여타 기관들이 지원을 해야한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황정석 / 산불정책기술연구소장> "6만7,000명의 소방공무원과 그 산하에 10만명의 의용소방대가 산불진화에 적극 나서서 소방이 산불의 컨트롤 타워가 돼야 한다…"
다만 산림 전문 기관인 산림청을 산불진화까지 책임지는 '컨트롤 타워'로 역할을 더욱 강화해야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
<강신원 / 전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 사무처장> "모든 산불은 산림청장의 지휘통제를 받고, 유관부서에서 산불 통제에 응하지 않았을 경우에 강제 규정을 신설해야겠다…"
산불대응 체계 개편과 함께 고령화한 산불 진화 인력과 장비를 확충해야한다는 지적입니다.
산불 진압을 담당하는 산불진화대의 평균연령은 61살로 조사됐습니다.
야간 진화에 투입할 수 있는 헬기를 적극적으로 도입해야한다는 의견도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이호진입니다.
#산불 #컨트롤타워 #산림청 #지자체 #소방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호진(jinl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