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00:00
00:00
[앵커]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유전자를 조절하는 핵심 단백질의 작동 원리와 구조를 밝혀냈습니다.
세포 증식과 노화, 질병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반지식인 셈인데, 공상과학 영화에 나올 법한 새시대를 열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서형석 기자입니다.
[기자] 생명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유전물질 DNA와 RNA.
DNA가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설계도라면, RNA는 설계도 원본 중 특정 단백질 생성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전달합니다.
이중 정확히 어떤 단백질을 만들어야하는지 암호화된 정보를 갖고 있는 게 메신저RNA인데, 이 암호를 푸는 것이 마이크로RNA입니다.
마이크로RNA는 메신저RNA와 결합해 유전자 발현 과정을 조절하며 세포 증식과 분화, 면역, 노화와 질병 등 생명 현상 모든 과정에 직간접 영향을 줍니다.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이 마이크로RNA 생성에 필요한 '다이서 단백질'의 작동 원리와 3차원 구조를 규명해냈습니다.
104만여 개의 구조 조합을 비교 실험해 마이크로RNA가 만들어지는 최적의 방법을 알아낸 겁니다.
<김빛내리 / 서울대 생명과학부 석좌교수 (기초과학연구원 RNA 연구단장)> "(RNA) 서열들이 뭐가 있는 것이 왜 중요한지 원리를 구조를 통해서 알게 됐습니다. 그래서 확실히 알게 된 원리를 활용을 하게 되면 마이크로RNA를 훨씬 더 잘 만들 수가 있게 되는 거죠."
이론적으로 모든 유전자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외모, 키, 몸무게, 노화 조절부터, 비정상적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유전병, 암, 그리고 새로운 전염병의 무력화까지 활용 가능성은 무궁무진합니다.
<김빛내리 / 서울대 생명과학부 석좌교수 (기초과학연구원 RNA 연구단장)> "세포의 특성을 바꾸는 방향의 세포공학 혹은 분자 진단, 그리고 식량, 환경문제 해결 등에 활용될 수 있는 도구가 됩니다."
연구진은 향후 10년 안에 일반인들도 관련 기술의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번 연구결과의 자세한 내용은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최신호에 실렸습니다.
연합뉴스TV 서형석입니다. (codealpha@yna.co.kr)
#전염병 #노화 #질병 #마이크로RNA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