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00:00
00:00
[연합뉴스20]
[앵커]
정부청사가 공무원 준비생에게 뚫리자 정부는 방호 시스템을 전면 재정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원인 분석과 관련자 처벌도 없이 먼저 문제를 덮기 급급한 모습을 보여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팽재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공무원 준비생 20대 송 모 씨에게 무기력하게 뚫린 정부서울청사.
청사 방호를 담당하는 행정자치부는 부랴부랴 보안 대책을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성렬 / 행정자치부 차관> "취약점에 대해서는 현장점검, 전문가 자문, 관계부처 협의 등을 통해 종합적인 청사 보안강화 대책을 최대한 신속하게 마련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문제가 되는 요소들을 일단 덮어두려는 모습을 먼저 보이고 있습니다.
인사혁신처는 경찰에 사무실 침입 사실을 알리면서, 문 옆에 적혀있는 잠금장치 비밀번호를 지웠습니다.
경찰이 사건 현장을 확인하기도 전에 취한 조치여서 증거인멸 의혹이 일었습니다.
청사 방호와 용역 관리를 책임진 행자부도 문 옆에 적어놓은 비밀번호 존재를 평소 알고 있었다는듯 사건이 터지자 곧바로 모든 사무실에 비밀번호 삭제 지시를 내렸습니다.
인사처의 섣부른 해명도 문제입니다.
인사처는 직원의 PC 보안지침에는 문제가 없다고 수차례 강조했지만, 이후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자 "기술적인 부분을 언급한 게 아니었다"며 말을 바꿨습니다.
송 씨가 훔친 공무원 출입증에 대한 분실신고 여부와 사고 당일 당직자의 순찰 동선 등 아직 사건과 관련한 의혹은 여전한 상황입니다.
총리실 공직감찰은 정부청사 침입사건을 둘러싼 각종 공직기강 해이도 철저히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팽재용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