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은 미국 국채에 2억 원 남짓을 투자한 최상목 경제부총리를 향해 '경제 내란'이라는 용어까지 동원하며 맹비판했습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오늘(3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최 부총리를 향해 "경제 안정에 애써야 할 경제부총리가 입으로만 안정을 외치고, 뒤로는 환율 급등, 외환위기에 베팅하고 있었던 게 드러났다"며 '경제 내란'이라고 비난했습니다.
이어 "'윤석열 쿠데타'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질 때마다 환율이 급등했다"며 "환율 폭등으로 국민이 고통에 시달릴 때 최 부총리는 무슨 생각을 했던 것인가"라고 되물었습니다.
그러면서 "공직자 윤리법상 이해 충돌 행위와 형사상 배임죄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경제 내란이자 국민을 배신한 행위"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같은 자리에서 홍성국 최고위원 역시 "원달러 환율이 위기에 처해 있는데 달러를 사는 게 기재부 장관의 역할이라는 말이냐"며 "나라보다는 자신의 이익을 챙기는 데 열중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줬다"고 비판했습니다.
전현희 최고위원은 "최 부총리가 미국 국채를 구입하고 사실상 한국 경제를 운용하는 것은 명백한 이해충돌"이라며 "최 부총리는 당장 경제부총리 업무를 회피하기 바란다. 그렇지 않으면 국회가 강제로 직무를 회피하게 하는 방법 밖에 없다"고 가세했습니다.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지난 27일 공개한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 사항'을 보면 최 부총리는 1억9천712만원 상당의 30년 만기 채권 상품을 보유했다고 신고했습니다.
야당의 문제 제기에 대해,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최 부총리가 공직 퇴직 후 자녀 유학 준비 과정에서 2018년 보유하게 된 달러로 작년 중순 미 국채를 매입한 것"이라면서 "따라서 최근의 환율 변동과는 무관하다"고 반박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윤솔(solemi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