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 등의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 매매량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4,743건으로, 전월(3,233건) 대비 46.7% 급증했습니다.
전국적으로도 주택 매매거래량은 5만698건으로, 32.3% 증가했습니다.
국토부는 봄 이사철 수요와 금리 인하 기대감, 여기에 토허제 해제 조치가 맞물린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전월세 거래도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2월 전국 주택 전월세 거래량은 27만8,238건으로 전월보다 38.6%, 전년 동월 대비로는 6.0% 증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월세 거래 비중은 63%로,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거래 활황과 달리 주택 공급 관련 선행 지표는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2월 전국 주택 인허가는 1만2,503가구로 전월보다 44.3% 줄었고, 수도권은 7,003가구로 53.7% 급감하며 반토막 수준에 그쳤습니다.
분양 역시 수도권은 전무했고, 전국 기준으로는 5,385가구로 27.6% 감소했습니다.
준공 후에도 분양되지 않는 ‘악성 미분양’은 2만3,722가구로, 2013년 10월(2만3,306가구) 이후 1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국토부는 세제 혜택 등 지원책을 통해 준공 후 미분양 해소에 나서겠다는 방침입니다.
#토지거래허가제 #토허제 #국토부 #서울아파트 #악성미분양 #전세 #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수강(kimsook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