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제공]


LG전자가 AI와 신기술 등으로 프리미엄 TV 시장 1위에 오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LG전자는 오늘(11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2025 LG 올레드·QNED TV 신제품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ADVERTISEMENT



목표 달성을 위해 LG전자는 ‘트레이드 마크’인 올레드TV 뿐만 아니라 프리미엄 액정표시장치(LCD) TV인 QNED TV를 함께 앞세우는 ‘듀얼 트랙’ 전략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박형세 LG전자 MS사업본부장 사장은 "2025년형 신제품은 실생활에서 고객에게 실질적인 이점을 제공하는 AI 기능에 초점을 맞췄다"며 "손에 잡히는 AI 기능을 통해 고객의 TV 시청 경험을 한 차원 끌어올리겠다"고 말했습니다.

LG전자는 우선 2025년형 TV 신제품 리모컨에 AI 전용 버튼을 탑재해 고객의 AI 기능 접근성을 향상했습니다.

밝기부터 색상까지 화질을 대폭 향상하는 신기술들도 적용했습니다.

신제품은 글로벌 인증기관 UL 솔루션즈로부터 업계 최초로 '퍼팩트 블랙' 인증을 받은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습니다.

[연합뉴스 제공]


백선필 TV상품기획담당 상무는 "AI 시대를 이끌기 위해서는 독자적인 시스템 온 칩(SoC) 기술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LG전자는 여기에 매우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LCD 라인업엔 초대형·프리미엄 LCD TV에 대한 고객 수요를 반영해 100형 제품도 추가했습니다.

백 상무는 "130형 등 더 큰 크기도 만들 수 있지만, 배송 문제가 있어 여러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백 상무는 "1천달러 이상 프리미엄 시장에서 LG전자가 전체 1등을 하는 것이 목표"라며 "좋은 제품을 만들어서 프리미엄 시장에서 1위를 하겠다는 목표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TCL 등 중국 기업의 한국 시장 진출에 대해서는 "중국 TV를 써보니 UHD 튜너가 없고 한국어 지원이 안 되는 등 아쉬운 점이 있었다"며 "중국 제품이 패널 등 하드웨어적 체력은 있지만, SoC와 플랫폼 같은 브레인 면에서 격차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신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해선 "관세는 국가적 문제고, 여러 생산 거점을 놓고 어느 곳에서 제품을 제공해야 할지 고민해 운영하는 수밖에 없다"며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TV #신제품 #중국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진솔(sincer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