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 스타벅스 매장에서 '카공족'(카페에서 공부하는 사람들)에 대한 특단의 조치를 내려 연일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유동인구가 많은 한 지점이, 30분 이상 좌석을 비우면 직원이 자리를 정리할 수 있고 물품은 매장 내 분실물 보관함에 보관된다고 안내한 건데요.
일부 점포의 움직임이긴 하지만, 이른바 '카공의 성지'로 꼽히는 스타벅스가 오죽하면 이런 결정을 내렸겠냐며 "모든 매장이 시행했으면 좋겠다", "솔직히 30분도 길다"는 반응을 내놓고 있습니다.
\이 카공족을 둘러싼 ‘민폐 논란’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외부 음료를 매장 컵에 부어 마신 손님[출처=온라인 커뮤니티][출처=온라인 커뮤니티]
과거 카페에 장기간 머문 학생이 외부에서 반입한 음료를 매장 컵에 부어 먹거나, 프린터를 들고 와 업무를 본 사진이 공개돼 눈살을 찌푸리게 한 적이 있었죠.
자엉업자들이 이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카공족으로 인해 힘들어하는 카페 업주들의 게시글이 최근에도 다수 올라와 있습니다.
한 카페 업주는 "학생 2명이 9시 오픈 전에 와서 아메리카노 2잔에 학생증 할인 2천 원 받고 17시까지도 안 나가고 있다"는 글을 올렸습니다.
"짐을 놓고 2시간 자리 비우고 다시 또 늘어와서 노트북과 핸드폰 충전도 한다"며 "물까지 쏟아서 휴지 한 뭉치를 쓰고 있다"며 울분을 토했습니다.
특히, 대학가에서는 학생들 커뮤니티인 '에브리타임'에서 소문이 빠르게 돌다 보니 말도 못 꺼내겠다고 카페 업주들은 입을 모아 하소연했습니다.
대학가 앞 카페를 운영한다는 한 업주는 한 학생이 "매장 음악 소리가 커서 공부에 집중 안 된다"는 리뷰를 남겼다며 "도서관인지 카페인지 모르겠다"고 했습니다.
카페에 개인 프린터를 설치한 손님[출처=온라인 커뮤니티][출처=온라인 커뮤니티]
또 다른 카페 업주는 "한 손님이 아메리카노 한 잔 시키고 5시간 동안 있었다"며 "어떻게 대처할지 고민"이라며 다른 업주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기도 했는데요.
업주는 "이후 장시간 이용 고객은 추가 주문을 부탁드린다는 문구를 적어놨는데도 오늘 또 와서 몇 시간 동안 계신다"며 불만을 토로했습니다.
이에 다른 이용자들은 "노동요를 틀라", "와이파이 속도를 낮춰라", "덮개로 콘센트를 사용 못 하게 막아놔라"는 등 각종 '카공족 퇴치' 조언을 남겼습니다.
지난 2019년 한국외식산업연구원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4,100원 커피 한 잔 기준 1시간 42분 이상 머무르면 업주가 손해를 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카공족 #카페 #자영업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예림(lim@yna.co.kr)
유동인구가 많은 한 지점이, 30분 이상 좌석을 비우면 직원이 자리를 정리할 수 있고 물품은 매장 내 분실물 보관함에 보관된다고 안내한 건데요.
일부 점포의 움직임이긴 하지만, 이른바 '카공의 성지'로 꼽히는 스타벅스가 오죽하면 이런 결정을 내렸겠냐며 "모든 매장이 시행했으면 좋겠다", "솔직히 30분도 길다"는 반응을 내놓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이 카공족을 둘러싼 ‘민폐 논란’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과거 카페에 장기간 머문 학생이 외부에서 반입한 음료를 매장 컵에 부어 먹거나, 프린터를 들고 와 업무를 본 사진이 공개돼 눈살을 찌푸리게 한 적이 있었죠.
자엉업자들이 이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카공족으로 인해 힘들어하는 카페 업주들의 게시글이 최근에도 다수 올라와 있습니다.
한 카페 업주는 "학생 2명이 9시 오픈 전에 와서 아메리카노 2잔에 학생증 할인 2천 원 받고 17시까지도 안 나가고 있다"는 글을 올렸습니다.
"짐을 놓고 2시간 자리 비우고 다시 또 늘어와서 노트북과 핸드폰 충전도 한다"며 "물까지 쏟아서 휴지 한 뭉치를 쓰고 있다"며 울분을 토했습니다.
특히, 대학가에서는 학생들 커뮤니티인 '에브리타임'에서 소문이 빠르게 돌다 보니 말도 못 꺼내겠다고 카페 업주들은 입을 모아 하소연했습니다.
대학가 앞 카페를 운영한다는 한 업주는 한 학생이 "매장 음악 소리가 커서 공부에 집중 안 된다"는 리뷰를 남겼다며 "도서관인지 카페인지 모르겠다"고 했습니다.

또 다른 카페 업주는 "한 손님이 아메리카노 한 잔 시키고 5시간 동안 있었다"며 "어떻게 대처할지 고민"이라며 다른 업주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기도 했는데요.
업주는 "이후 장시간 이용 고객은 추가 주문을 부탁드린다는 문구를 적어놨는데도 오늘 또 와서 몇 시간 동안 계신다"며 불만을 토로했습니다.
이에 다른 이용자들은 "노동요를 틀라", "와이파이 속도를 낮춰라", "덮개로 콘센트를 사용 못 하게 막아놔라"는 등 각종 '카공족 퇴치' 조언을 남겼습니다.
지난 2019년 한국외식산업연구원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4,100원 커피 한 잔 기준 1시간 42분 이상 머무르면 업주가 손해를 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카공족 #카페 #자영업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예림(lim@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3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1
이 시각 주요뉴스
사회 최신뉴스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