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 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 >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ADVERTISEMENT



<질문1>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 팽팽한 기싸움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중국과의 무역 협상에 있어 공은 중국 코트에 있다며 중국은 우리와 협상을 해야 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중국을 압박하는 모양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더 초조한 상황인거죠?

<질문2> 미국 정가에서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 전쟁에 사용할 무기로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을 증시에서 퇴출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이 거의 300개 가까이 되는데, 이게 실제로 가능한 일인가요?

<질문2-1>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트럼프 미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관세 전쟁에서 조만간 패배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는데요.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금지하겠다고 밝힌 상황이잖아요. 미국은 어떤 카드를 내놓을 수 있을까요?

<질문3> 미국이 유럽연합 등 무역 상대국과 협상을 진행하고 있지만, 결과는 좀처럼 나오지 않고 있는데요. 미 재무장관이 먼저 움직이는 사람이 이점이 있을 것이라고 이야기를 했는데, 이건 어떤 의미라고 봐야 할까요?

<질문4>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다음주 미국을 방문해 베센트 미 재무장관을 만나 통상현안 회의를 가질 예정입니다. 미 재무부 측에서 통상현안 회의를 요청했다고 하는데, 미국 측에서 먼저 회의를 요청했다는 건 긍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도 되겠습니까?

<질문4-1>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중국 견제’를 교역국과의 협상 테이블에 올릴 수도 있다고 보도했는데요. 우리나라와의 협상에도 제시할 가능성,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5> 일각에서는 우리가 LNG 사업 참여를 협상 카드로 내놓는 것이 이익이 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는데요. LNG 사업 참여 대가로 자동차 관세 또는 90일 유예 상호관세율을 낮출 수 있다는 건데, 이와 관련해 박사님께선 어떤 생각 갖고 계신가요?

<질문6>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와 의약품 수입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이에 정부가 추경으로 7조원을 긴급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들까지 타격이 만만치 않을 거라는 얘기가 나오는데, 어제 정부가 발표한 추경으로 감당이 될까요?

<질문7>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한국의 장기 국가신용등급을 종전과 같은 'AA'로 유지했는데요. 비상계엄에도 불구하고 국가신용등급이 안정적으로 유지가 됐네요?

<질문8> 화제를 좀 바꿔보겠습니다. 최근 2030세대의 활발한 이직과 불황으로 인한 희망퇴직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100대 기업의 평균 근속 연수는 오히려 소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런 현상, 어떻게 분석하시나요?

<질문8-1> 대기업 평균 근속연수가 2020년부터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하는데요. 근속연수가 높고 낮음이 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나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영수(kys6252@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1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