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00:00
00:00
[앵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기일이 정해지자,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늦었지만 다행"이라는 반응이 나왔습니다.
파면 결정을 자신하는 분위긴데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최상목 부총리에 대한 이른바 '쌍탄핵' 추진은 일단 숨고르기에 들어가는 모양새입니다.
이다현 기자입니다.
[기자]
탄핵 심판 선고 기일이 4일로 정해졌다는 소식에, 더불어민주당은 즉각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었습니다.
회의를 마친 뒤 민주당은 공식 입장을 내고, "주권자인 국민의 의사를 무겁게 받들라"며 헌법재판소에 윤 대통령 파면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조승래 /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헌법재판소가 내란수괴 윤석열 파면을 통해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의 국체와 국헌을 수호하는 단호한 의지를 보여줄 것이라 믿습니다."
지도부는 대통령직 파면 결정이 내려질 것으로 자신했는데,
<박찬대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만장일치 확신합니다. 헌법을 위배한 상황 중에서 발생했던 부분이기 때문에 이것을 면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방법은 파면이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소속 의원들도 SNS를 통해 파면을 전망한다는 메시지를 쏟아냈습니다.
다만 민주당은 결과를 낙관하지 않고, 선고 날까지 비상 체제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서울 광화문에서의 비상행동과 국회 경내에서의 비상 대기를 이어가겠다는 겁니다.
대신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을 위해 밀어붙이던 이른바 '쌍탄핵' 전략은 동력을 잃는 분위깁니다.
앞서 민주당은 4월 1일을 임명 시한으로 제시하며 한덕수 권한대행을 압박했는데, 윤 대통령 선고 기일이 정해지면서 마 후보자 임명을 서두를 필요성이 줄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민주당은 한 대행에 대한 "탄핵안 발의를 구체적으로 얘기한 바는 없다"며 한발 물러섰고, 이미 발의된 최상목 부총리 탄핵안도 바로 표결하지 않는 방안을 논의 중인 거로 전해졌습니다.
연합뉴스TV 이다현입니다.
[영상취재 신경섭 김성수 최성민 김상훈]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다현(o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