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정부가 미국 정부의 품목 관세가 예고된 반도체 산업에 대한 지원을 기존 26조원에서 33조원을 투입하는 등 대폭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오늘(15일)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글로벌 반도체 경쟁력 선점을 위한 재정투자 강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ADVERTISEMENT



반도체 지원 사업을 기존 26조원에서 33조원 규모로 확대하고, 재정도 2026년까지 4조원 이상 투입한다는 계획입니다.

우선 용인·평택 반도체 클러스터 적시 조성 위해 기업이 부담하는 송전선로 지중화 비용의 70%를 국비로 지원하고, 투자규모 100조원 이상 대규모 클러스터에 대해선 인프라 국비지원 한도를 1,000억원으로 확대합니다.

아울러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인프라 국비 지원 비율 역시 30~50% 대폭 상향하는 등, 전력·인프라 구축에 파격적인 지원을 예고했습니다.

반도체 기업들에 대한 과감한 투자에도 나서기로 했습니다.

첨단 소재·부품·장비를 생산하는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투자보조금을 신설하고, 반도체 저리대출도 3조원 이상 추가 공급합니다.

또한, 실제 양산 환경에 근접한 미니팹을 신설하여 K-반도체 기술혁신 플랫폼(한국형 IMEC)도 적극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밖에 국내 신진 석박사 연수·연구 프로그램과 해외 인재의 국내 체류형 글로벌 공동연구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반도체 아카데미를 전국으로 확대하여 반도체 우수 인재 확보 노력도 적극 병행한다는 계획입니다.

정부는 별도 관세가 예상되는 바이오헬스 분야 관련 지원에도 나서기로 했습니다.

바이오헬스 수출피해지원센터를 운영해 수출바우처 활용 확대 등을 지원하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 확대에도 착수한다는 계획입니다.

#반도체 #관세 #트럼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임혜준(junelim@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