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레드 플라이츠 미국우선주의정책연구소(AFPI) 부소장이 미국이 한국에 26% 상호관세를 부과키로 한 것에 대해 "협상을 거치면서 바뀔 것이라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오늘(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세종연구소 주최로 열린 '트럼프 2기 행정부와 동아시아 안보' 주제의 포럼에서 발표자로 나서 미국의 관세 발표가 "협상의 첫 신호탄"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또 트럼프 정부의 정책에 대해 "동맹국과 파트너국들이 제 몫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트럼프 정부에 "에너지 안보가 우선 과제"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한국이 관세뿐 아니라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사업이나 조선 등 분야에서 미국과 협상할 여러 기회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국이 알래스카 LNG 사업에 참여한다면 "한국의 장기적 에너지 안보에 큰 득이 될 것"이라며 "차기 한국 정부에서 에너지 관계 개선이 우선순위 과제가 됐으면 좋겠다"고 제언했습니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트럼프 행정부가 워싱턴 선언을 비롯해 한미일 협력 기제,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의 안보 협의체), 오커스(AUKUS·미국·영국·호주 안보 동맹) 등도 계속 지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와 함께 "일정한 조건을 충족한다면 북한과 대화를 재개하려고 할 것"이라며 "북미 정상회담이 있기 전에 먼저 (미국이) 한국, 일본과 심층적인 협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플라이츠 부소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결과를 예상해달라는 민경욱 전 미래통합당 의원 질문에 "한국 내정에 간섭하고 싶지 않다"며 말을 아꼈습니다.
다만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윤 대통령이 탄핵(소추)만 안 됐으면 얘기해보고 싶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도 1기 때 탄핵소추 등 의회에서 훼방을 받았고 2기 때도 민주당에서 탄핵을 운운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윤 대통령과 지지자들에 대해 어느 정도 공감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AFPI는 친트럼프 성향 싱크탱크로, 플라이츠 부소장은 트럼프 1기 정부에서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비서실장을 지냈고, 트럼프 2기 정권인수위원회에서 활동한 바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민아(goldmin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