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와 관세청은 오늘(3일) 오전 서울본부세관 대회의실에서 '수출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를 열고 수출 중소기업 지원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날 간담회는 오영주 중기부 장관과 이명구 관세청 차장, 미국 관세 부과로 피해가 예상되는 수출 중소기업 6개사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열렸습니다.
오 장관은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수출 중소기업의 관세 파고를 넘기 위한 방안으로 긴급한 관세 대응을 위한 '수출 바로 프로그램'을 도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중기부는 290억원 규모의 '수출 바로 프로그램'을 이달 초 공고하고, 신청 기업에 대해서는 1개월 내에 신속히 지원하는 패스트트랙 방식을 적용할 방침입니다.
중기부는 글로벌 보호무역 기조가 두터워지는 추세에 맞춰 대체시장 발굴과 공급망 확보, 관세 분쟁 해결 등 수출 중소기업의 관세 대응에 특화한 조치라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중기부와 관세청은 중소기업 관세 대응을 위한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방중기청과 전국의 본부세관을 핫라인으로 연결해 원산지 증명, 품목분류 등 수출 중소기업에 필요한 관세 정보를 지방중기청에서도 신속히 제공할 방침입니다.
또 전국 세관에 배치된 공익관세사를 수출 중소기업과 연계해 전문적 관세 상담을 지원하고, 관세청이 추천한 우수 중소기업을 중기부 수출지원사업에 우선 참여시키기로 했습니다.
이명구 관세청 차장은 "우리 수출 중소기업이 해외 관세 정보 부족으로 시간적·경제적 불편을 겪지 않도록 중기부와의 더욱 강화된 협력관계를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 대표들은 미국 관세 부과에 대한 정보 부족을 토로하면서, 관세 대응에 특화한 전문 컨설팅 지원 등 정부의 지원정책 확대가 필요하다고 요청했습니다.
오영주 장관은 "관세 대응 긴급 지원사업인 ‘수출 바로 프로그램’이 수출 현장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도록 내실을 다져 신속하게 운영하겠다"면서, "앞으로도 중소기업 및 관련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고 정부부처와의 협력도 꾸준히 발굴해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관세 애로가 있는 중소기업은 '수출지원센터 누리집'이나 지방중소벤처기업청에 설치된 15곳의 수출지원센터 방문 등을 통해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기부 #관세청 #수출_중소기업 #지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오주현(viva5@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