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K-동물용의약품 글로벌 경쟁력 키운다…연구개발 지원 확대

경제

연합뉴스TV K-동물용의약품 글로벌 경쟁력 키운다…연구개발 지원 확대
  • 송고시간 2025-04-02 10:00:04
정부가 동물용의약품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관련 연구 개발 지원에 나섭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농림축산식품부는 오늘(2일) 발표한 '동물용의약품 산업 발전 방안'을 통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농식품부는 동물용의약품의 국내‧외 수요는 축산물 소비 증가, 가축전염병 지속 발생, 반려동물 양육 증가, 원헬스 중요성 부각 등으로 지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정부는 오는 2035년까지 동물용의약품 산업 규모를 4조원 규모까지 확대하고, 수출 규모는 1조5천억원까지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대규모 연구개발(R&D) 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해 산업계‧학계 등 현장 전문가가 참여하는 연구개발 추진 기획단을 구성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개발이 시급한 국가 재난형 가축전염병 대응 백신, 해외 의존도가 높은 반려동물용 의약품, 인공지능(AI)과 바이오 기술을 결합한 첨단바이오의약품 등과 같이 개발 성공 시 파급효과가 큰 전략 품목과 이와 연관된 핵심기술의 국산화를 보다 앞당긴다는 계획입니다.

농식품부는 또 인허가 규제 혁신으로 연구개발(R&D) 성과를 확산하면서 산업화를 저해하는 요인들을 제거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신약 품목허가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와 시간이 걸리는 안전성‧유효성 자료에 대한 사전검토제를 도입해 개발 품목의 빠른 시장 진입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또 현재 운영 중인 신약검토팀(검역본부) 기능을 강화해 임상시험 설계를 지원하는 등 신속 허가(패스트트랙) 체계를 구축, 통상 7~10년 이상 소요되는 신약 개발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농식품부는 유망 수출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경쟁력 있는 기업의 지속 성장을 지원합니다.

수출 품목 개발 및 수출국 인허가 등에 필요한 기업 지원 예산을 지속 확대해 수출 역량을 강화하는 등 계획을 밝혔습니다.

농식품부는 국내 제조‧품질관리기준(GMP)을 국제 기준과 조화시켜 신약 및 신기술 개발로 연결되는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해 나간다는 청사진도 밝혔습니다.

국내 동물용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GMP)은 2004년 도입 후 선진화되지 않아 국제 표준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인데, 이를 개선하겠다는 겁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이번 산업 발전 방안을 통해 동물용의약품 산업을 중장기적으로 크게 성장시키고, 고부가가치 신제품 개발과 기술혁신을 통해 국가 경제를 견인하는 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농식품부 #동물용의약품 #산업 #발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오주현(viva5@yna.co.kr)
close_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