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늘어난 가운데, 지난해 말보다 상승 거래 비중도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늘(9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시스템에 신고된 서울 아파트 거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과 2월에 계약돼 이달 7일까지 거래 신고된 아파트의 55%가 지난해 11∼12월 거래가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같은 기준으로 작년 10∼11월 대비 11∼12월의 상승 거래 비중이 50%였던 것과 비교해 5%포인트 증가한 것입니다.
상승 거래가 가장 많았던 곳은 서초구로 70%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서초구는 반포 래미안원베일리 등 한강변 신축 단지를 중심으로 실거래가가 고공행진을 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 상승 거래 비중이 높은 곳은 관악구로 69%였고, 광진구(68%), 마포구(65%), 중구(64%), 송파구(63%), 강남·성동구(58%) 등의 순으로 상승 거래 비중이 높았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는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거래 신고가 급증하고 있어, 앞으로 상승 거래 비중은 이보다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9일 기준 2월 서울 아파트 신고 건수는 3,859건으로 이미 1월 거래량(3,327건)은 물론 작년 10월(3,844건) 거래량도 뛰어넘었습니다.
이런 추세라면 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 전인 지난해 8월(6,535건) 이후 6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할 가능성이 큽니다.
#서울 #아파트 #부동산 #토허제 #서초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다미(smju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