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출연: 봉영식 연세대 객원교수>

한미 관세협상이 이번주 열릴 예정인 가운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과의 협상때처럼 직접 등판할 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미국 내에선 트럼프 대통령 정책에 대한 반대 여론이 거세지고 있는데요.

ADVERTISEMENT



봉영식 연세대 객원교수와 자세한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질문1> 한국과 미국의 재무·통상 장관이 이번 주 미국 워싱턴에서 2+2 형식의 통상 협의를 갖습니다. 우리 정부는 일정을 공개하면서 '협상'이 아닌 '통상 협의'라는 표현을 택했는데, 이유가 있을까요?

<질문2> 세부 일정과 안건은 아직 조율 중입니다. 미국은 방위비 문제까지 포괄하는 '원스톱 쇼핑' 방식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미국이 원하는 조선업과 알래스카 LNG 개발이 우리가 협상을 유리하게 이끄는 카드가 될 수 있을까요?

<질문3> 지난주 미일 관세협상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 측에 무역적자 제로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안보 카드도 협상 테이블에 올렸죠. 미일 협상이 우리로서는 일종의 예고편이 됐는데, 전략적으로 참고할 만한 부분이 있을까요?

<질문4> 일각에서는 협상 카드를 이번에 다 꺼내야 한다는 의견도 있는데요.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협상 틀을 계속 이어가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어떤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질문5>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의 관세 협상에 직접 참석했죠. 때문에 한국과 장관급 협상에도 직접 등판할지가 관심인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협상에 참여할 가능성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6> 미국 독립전쟁 발발 250주년 기념일을 맞아 미국 전역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가 열렸습니다. 빌 클린턴 전 대통령도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우려를 표명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을 내놨다고요?

<질문7> 백악관 홈페이지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중국의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주장이 실렸습니다. 앞서 미국은 중국산 선박을 이용하는 해운사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는데요. 중국과 협상 타결을 얘기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최대한 끌어올리는 모습이에요?

<질문8>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도 알아보겠습니다.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손을 뗄 수 있다는 경고를 보이자, 러시아가 하루 만에 30시간 휴전을 일방적으로 선언했습니다. 미국 측의 경고성 발언에 부담을 느낀 걸까요. 어떻게 보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박경재(parkpd@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1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