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최근 소비자 물가가 다소 둔화하는 흐름을 보여도 체감이 되지 않는다는 목소리가 많았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오를 대로 오른 외식 물가가 쉽게 내려오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어떤 이유 때문인지, 이 시간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과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3월 소비자물가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 올랐습니다. 증가세는 둔화한 건데, 그런데 외식 물가는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어떤 품목이 얼마만큼 오른 건가요?
<질문 2> 최근 산유국들이 감산 계획을 밝히면서 국제유가에 대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천정부지로 치솟는 외식 물가가 쉽게 떨어지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는데 국제 유가가 더 상승할 경우 먹거리 물가를 얼마나 자극할 거라고 보세요?
<질문 3> 올해 우리나라 경제가 1%대 초반의 저성장에 그칠 것이란 해외 투자은행(IB)들의 전망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내년에도 잠재성장률 수준인 2%대 복귀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제시했는데 유독 우리 경제를 박하게 평가한 배경은 뭘까요?
<질문 4> 글로벌 경기침체가 심화 되는 가운데 우리 경제의 동력이었던 수출은 둔화하고 무역수지가 적자를 지속하고 있어 성장률이 추가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반등 모멘텀은 없는 걸까요?
<질문 5> 해외 투자은행들은 올해 우리 경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해 3.2%로 떨어진 뒤 내년 1.9%로 하락해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인 2%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 전망대로라면 한국은행이 하반기엔 금리 인하에 나설 수도 있을까요? 어떤 변수들을 지켜봐야 할까요?
<질문 6> 한편, 금융시장에서는 중국의 리오프닝이 아시아 국가들의 성장률 반등에 도움이 될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지만, 해외 투자은행들은 우리 경제 전망에 이런 기대를 반영하지 않는 듯 보이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질문 7>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아직 본격화되지 않았다고 말하며 민간투자 활성화를 통해 우리 경제 회복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대책들이 나왔나요? 실효성은 어떨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