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시진핑 '강경대처' 주문에 홍콩 정부 대책 마련 분주

세계

연합뉴스TV 시진핑 '강경대처' 주문에 홍콩 정부 대책 마련 분주
  • 송고시간 2019-11-17 10:23:38
시진핑 '강경대처' 주문에 홍콩 정부 대책 마련 분주

[앵커]

홍콩 시위대가 중국계 상점을 습격하는 등 홍콩 시위 사태가 주말에도 산발적으로 이어지는 가운데 홍콩 정부는 대응책 마련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강경대처를 주문한 데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이봉석 기자입니다.

[기자]

홍콩 정부가 장기화하는 시위 사태에 대처하기 위해 범정부 태스크포스를 세울 예정입니다.

정무를 총괄하는 총리격인 매튜 청 정무사 사장이 태스크포스를 이끌게 됩니다.

<매튜 청 / 홍콩 정무사 사장> "악화된 상황에 직면해 홍콩 정부는 폭력을 멈추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이며, 사회 질서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것이 우리의 최우선 과제입니다."

이는 시진핑 주석이 최근 홍콩 정부와 경찰, 법원 각각의 역할에 힘을 실어주며 질서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한 데 따른 후속조치로 보입니다.

홍콩 정부는 또, 다른 분야의 인적 자원을 경찰력으로 투입하는 한편 질서를 되찾는 데도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시위대가 대학 캠퍼스를 점거해 요새화하는 상황에서 교육 당국에는 각급 교육기관과 접촉해 조속히 교육현장을 정상화하라는 임무가 떨어졌습니다.

중국과 홍콩 정부의 이런 전방위 대응 분위기를 감지한 듯 명문 중문대학을 거점으로 삼았던 시위대는 금요일 밤 교정을 버리고 떠났습니다.

<홍콩 중문대 시위대> "왜 저들이 떠나는지 혼란스럽습니다. 개인적으로 남기를 원합니다. 잘은 모르지만 내부 사정 때문인 듯 합니다."

홍콩 정부는 아울러 공무원 18만 명에게 시위에 참여했다가 체포될 경우 즉시 정직이나 다른 징계 처분을 할 것이라고 강력히 경고하는 서신을 보냈습니다.

시 주석이 시위대를 폭력범죄분자로 규정한 뒤 중국 관영 매체는 홍콩 시위를 신종 테러리즘이라고 지칭하고 나섰습니다.

무력진압의 명분을 마련하기 위한 선전전이라는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연합뉴스 이봉석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