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목 부총리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에서 다자무역체제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국제사회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최 부총리가 G20 1일차 회의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고 오늘(24일) 밝혔습니다.
ADVERTISEMENT
현지시간 23일 진행된 1일차 회의에서는 세계 경제·금융 부문 이슈가 주 의제로 논의됐습니다.
기재부에 따르면 최 부총리는 1일차 회의에서 정책 불확실성 확대, 높은 공공·민간 부채 수준,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기후·인구 리스크 등 글로벌 경제가 직면한 불확실성이 크게 확대됐다는 주요 국제기구 및 주요국들의 의견에 공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 향후 G20 국가들이 논의해야 할 세 가지 분야로 ▲ 지속가능한 다자무역체제 구축을 위한 공동의 노력 ▲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비한 대응체계 정비 ▲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구조개혁 등을 제시했습니다.
최 부총리는 그 과정에서 한국이 글로벌 공급망의 한 축으로서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먼저 강조했습니다.
또, 위기 대응의 최후 보루인 재정건성을 지켜나가는 한편 글로벌 금융안전망을 재점검하고 강화할 것을 회의에서 제안했습니다.
아울러 "인구·기후 등 구조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별 자발적·선제적 구조개혁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G20 국가들간 사례 공유가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한편, 최 부총리는 이번 워싱턴 출장을 통해 주요국 재무장관과 국제기구 총재들과도 면담을 가졌습니다.
기재부는 최 부총리가 지난 22일 워싱턴 도착 직후 유럽연합(EU) 순회의장국을 맡고 있는 안제이 도만스키 폴란드 재무장관을 만나 K2전차 수출 등 양국 방산 협력, 제2차 한-폴란드 경제대화 개최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최 부총리는 면담에서 "한국과 폴란드 모두 지리적 요충지이자 대외무역이 중요한 국가란 공통점이 있다"며 "K2전차 2차 수출계약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도만스키 장관은 이에 대한 화답으로 한국 정부의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 노력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후 최 부총리는 아제이 방가 세계은행(WB) 총재와도 면담했습니다.
최 부총리와 방가 총재는 한국의 세계은행 그룹 가입 70주년을 맞이해 올해 중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디지털 지식센터 설립하고 한국 디지털 신탁기금 신설 등 디지털 분야에서도 협력을 확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특히 최 부총리는 세계은행과의 긴밀한 협력을 위해 한국인 채용과 고위직 비중 확대에 대한 총재의 관심을 당부했습니다.
또, G20 회의장에서 프랑수아 필립 샹파뉴 캐나다 재무장관을 만나 글로벌 불확실성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23일에는 란 포안 중국 재무장관과 면담을 통해 다자개발은행(MDB) 협력 방안 등 의견을 교류했습니다.
최 부총리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설립 10주년을 맞아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연차총회의 성공적 개최를 기원하면서, 중국이 의장국을 맡은 다음달 아세안+3 재무장관회의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위해 긴밀한 협력을 제안했습니다.
또, 올해 한국이 의장국을 맡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재무장관회의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중국 측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을 당부했습니다.
#최상목 #G20 #재무장관회의 #다자무역 #세계은행 #경제불확실성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한별(good_star@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시각 주요뉴스
경제 최신뉴스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