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제공]


국내 정치 불확실성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가 비상계엄 사태 전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광현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정치 불확실성 지수는 2.5(일주일 이동평균)로 집계됐습니다.

ADVERTISEMENT



이는 지난 2000년 1월 1일부터 현재까지의 장기평균을 0으로 가정할 때의 상대적 수치입니다.

지수는 지난해 12월 초만 해도 0.5 수준이었지만,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직후인 같은 달 14일 12.8까지 급등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후 2월 하순에는 1.4까지 안정됐지만, 이달 초 탄핵심판을 전후로 다시 올랐습니다.

종전 최고치는 2004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당시 8.8이었고,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6.2 수준이었습니다.

정치 불확실성 지수는 한국은행이 언론 기사 중 '정치'와 '불확실'이 포함된 기사 수를 분석해 산출하며, 지수 상승은 정치적 불안 심리가 확대됐음을 의미합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올해 1월 “계엄 등 정치적 요인으로 환율이 펀더멘털보다 30원 정도 높게 형성됐다”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윤 전 대통령 탄핵으로 리더십 공백 해소의 길은 열렸지만 정치·경제 불확실성은 여전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정치불확실성 #한국은행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윤형섭(yhs931@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