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들어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상승세가 거세지면서 전체 소비자 물가를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 상승, 고환율, 인건비·에너지 비용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가공식품과 외식 가격이 계속 뛰고 있는 것입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달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3.6%로 2023년 12월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기업들이 가격을 올린 커피(8.3%), 빵(6.3%), 햄과 베이컨(6.0%) 등의 상승률이 높았습니다.
외식(3.0%)도 2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2.1% 올랐는데, 외식과 가공식품이 전체 물가를 각각 0.42%포인트, 0.30%포인트 끌어올렸습니다.
올해 들어 3개월간 커피, 빵, 냉동만두, 과자, 아이스크림 등이 줄줄이 올랐습니다.
이달 초에도 라면(오뚜기), 맥주(오비맥주), 햄버거(롯데리아) 등의 가격이 인상됐습니다.
기업들은 원부자재와 인건비 등이 오른 데다 환율 상승으로 원재료 수입 단가가 높아져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지난해 정부로부터 물가안정에 동참해 달라는 압박을 지속적으로 받고 가격 인상을 미루면서 부담을 감내해왔다고 기업들은 주장합니다.
한편, 계엄 사태 이후의 가격 인상 도미노는 끝나더라도 먹거리 물가가 단기에 안정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불확실성 때문에 경기가 굉장히 안 좋아 매출은 작년만 못 하고 원가 부담은 크기 때문에 가격 인상이 이어질 것"이라면서 "새 정부가 들어설 때까지는 기업들이 가격을 올릴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한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 관계자는 "일부 배달용 메뉴 가격을 올린 것 말고는 가격을 올리지 않고 이익을 줄였지만 이제 한계에 도달해 가격을 올려야 할 상황을 맞이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여기에 미국의 관세 전쟁으로 자유무역 질서에 균열이 생기면 글로벌 인플레이션을 가속하고, 이는 국내 먹거리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지난 11월 1,400원을 돌파한 이후 5개월이 지나도록 1,400원을 훨씬 상회하는 고환율이 장기화하면서 원가 부담도 커지는 상황입니다.
폭염, 집중호우, 극한 기상 현상 등 기후변화로 인해 농산물 등 가격이 상승하는 '기후플레이션'의 영향 역시 커지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배추는 1년 전보다 49.7% 오르고 무는 86.4% 상승했습니다.
최근 경북 산불로 전국 사과 재배 면적의 9%가 직간접적 피해를 봤으며 마늘, 고추 등도 피해를 입었습니다.
통계청은 이번 산불 피해로 일부 농산물 가격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식품 #외식 #물가 #소비자물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임혜준(junel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