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제약·바이오·헬스케어 기업이 임신 중 발생할 수 있는 질환 관리를 지원하는 등 저출생 문제 해결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오늘(9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헬스케어는 임직원이 임신성 당뇨를 앓을 경우 연속혈당측정기를 무상으로 제공합니다.
이는 지난해 카카오헬스케어가 센서 부착형 연속혈당측정기를 활용한 인공지능(AI) 기반 모바일 혈당 관리 서비스 '파스타'를 출시하면서 신설된 정책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임직원 성별과 관계 없이 자녀당 육아휴직을 최대 2년까지 지원합니다.
이는 법정 기준인 1년보다 2배 긴 수준입니다..
동아제약은 임직원 출산 시 첫째 20만원, 둘째 50만원, 셋째부터 100만원을 지급하며, 축하금 명목으로 500만원을 별도 제공합니다.
매월 셋째 주 금요일은 '패밀리 데이'로 4시간 조기 퇴근제가 실시됩니다.
한독은 최근 출산 경조금을 대폭 인상했습니다.
첫째 출산 시 기존 10만원에서 10배 늘어난 100만원을 지급하고, 둘째 출산 축하금은 5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셋째는 1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각각 늘었습니다.
파마리서치는 출산 축하금으로 자녀 1인당 1천만원을 지급하며, 육아용품을 담은 '마더 박스'도 제공합니다.
양육지원금은 자녀가 만 8세가 될 때까지 매월 지급됩니다. 금액은 1명 10만원, 2명 30만원, 3명 50만원입니다.
난임 지원금도 1회당 100만원 한도 내에서 횟수는 무제한으로 제공합니다.
#저출생 #출산지원금 #패밀리데이 #난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다미(smju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