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일자리를 얻은 뒤 빌린 학자금을 갚는 '취업 후 학자금 상환 제도' 들어보신 적 있으시죠.
그런데 취업을 하고도 사정이 어렵다며 상환을 미뤄달라는 요청이 역대 가장 많았던 걸로 나타났습니다.
청년들의 삶은 갈수록 팍팍해지나 봅니다.
윤솔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5월 취업한 20대 A씨. 일자리를 구했는데도, 최근 가계 부담이 커졌다고 합니다.
대학 시절 생활비가 모자라 빌린 '취업 후 학자금 대출' 상환이 시작되면서입니다.
< A씨 / 서울 성북구> "사회초년생이라 돈 들어갈 일도 많고 월급 자체가 그렇게 많지도 않은데…매달 10%씩 (상환)하는 건 조금 부담이 되더라고요."
높은 체감 물가로 주머니 사정이 더욱 빠듯해졌지만, 이자 걱정에 허리띠를 졸라맵니다.
< A씨/서울 성북구> "소득이 잡히는 순간부터 이자나 가산금이 좀 더 많이 늘기 시작하니까 최대한 빠르게 갚아야겠다…."
학자금 대출 상환 부담에 허덕이는 건 A씨 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당장은 못 갚겠다'며 상환을 미뤄달라고 신청한 건수가 지난 2010년 제도가 시행된 이래 역대 최다로 나타난 겁니다.
대출 제도 이용자 중 상환유예를 신청한 인원은 지난해 1만 2천 명을 넘어섰습니다.
5년 전에 비하면 3배가량 급증한 수치입니다.
전체 체납 규모도 지난해 8만 건, 930억 원을 웃돌며 최대치를 찍었습니다.
장기 연체의 늪에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의 비중도 늘었습니다.
대출금을 모두 갚는 데까지 3년을 넘기는 비율이, 2년 연속 10명 중 1명꼴로 나타난 겁니다.
5년 전엔 3.1%에 불과했습니다.
취업을 하고도 여전히 학자금에 발목 잡힌 청년들,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시급하단 지적이 나옵니다.
<정성호 /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정부에서 연체 가산금을 9%에서 5%로 인하해준다고 했지만, 아직 실행이 지금 안 되고 있거든요. 이자 감면, 그다음에 연체 가산금 한도를 인하하는 게 굉장히 시급한 것 같습니다."
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 (solemio@yna.co.kr)
[영상취재기자 : 최승열]
#학자금 #대출 #국세청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