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뉴스포커스] '화성 화재' 22명 사망…오늘 합동 현장감식

사회

연합뉴스TV [뉴스포커스] '화성 화재' 22명 사망…오늘 합동 현장감식
  • 송고시간 2024-06-25 10:37:05
[뉴스포커스] '화성 화재' 22명 사망…오늘 합동 현장감식

<출연 : 백승주 한국 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안전학과 교수>

어제 경기 화성시 리튬전지 제조공장에서 불이 나 22명의 사망자를 포함해 3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리튬전지의 특성 탓에 연기가 확산하고 화재 진압에 어려움을 겪었는데요.

오늘 오전 10시 반부터 소방당국은 경찰 등 관계 기관과 합동 감식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이번 화재로 리튬 등 금속성 물질의 화재 예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요.

관련 내용들, 백승주 한국 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안전학과 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질문 1> 어제 화성에 있는 리튬전지 제조공장에서 불이나 22명이 숨지고, 8명이 중·경상을 입었습니다. 1층에 있던 직원들은 즉각 대피했지만, 2층에 있던 직원들이 대피조차 하지 못하고 주검으로 발견됐는데요. 인명피해가 컸던 이유는 뭐라고 보시나요?

<질문 1-1> 소방당국에 따르면 피해자 대부분이 2층 공간 가장자리 벽면에서 발견됐다고 하는데요?

<질문 2> 리튬전지의 특성상 고온과 수증기가 겹치면 폭발이 일어나는 것도 위험하지만, 함께 발생하는 유독가스가 더 위험하다고 하던데, 유독가스로 인해 참사를 당했다고 볼 수 있을까요?

<질문 2-1> 물을 이용한 화재 진압이 어려워 리튬 배터리 건전지가 연소해 다 타고 꺼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수색작업이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진화가 끝난 이후에도 유독가스는 여전히 남아 있을 수 있나요?

<질문 3> 일각에서는 공장 건물에 누수가 생겨 배터리가 물에 노출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오늘 합동감식 결과를 지켜봐야겠지만, 화재가 발생한 원인, 어떻게 추정해 볼 수 있을까요?

<질문 3-1> 리튬 배터리 완제품을 수거 검수하고 포장하는 작업 중에 배터리 폭발이 일어났다고도 하는데, 배터리 완제품의 폭발이란 점은 어떻게 보세요? 배터리 내부 문제일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4> 이번 화재는 리튬전지의 특성 탓에 연기가 확산하고 화재 진압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보이는데요. 물을 뿌리면 안 돼 리튬 공장은 불이 나도 스프링클러가 작동이 안 된다고 하는데, 이번에는 일반 화재처럼 물을 뿌렸다고 하더라고요.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4-1> 리튬전지의 특성상 이번 화재는 금속화재에 해당하는데요. 어떤 방식으로 화재를 진압해야 하는 건가요?

<질문 5> 리튬 전지 생산시설처럼 고위험 제조시설은 특히 더 안전관리가 중요할 것 같은데요. 원료인 리튬은 위험물로 분류되지만, 완제품인 리튬전지는 위험물로 분류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일반화학물질'로 분류돼 별도의 대응 매뉴얼이 없다고 하는데, 맞습니까?

<질문 5-1> 금속화재가 소방법상 화재 유형으로 분류되지 않아 전용 소화기 개발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하는데, 이건 어떤 얘긴가요?

<질문 6> 이번에 화재가 발생한 건물 전체는 철 구조물이지만 내외장재는 샌드위치 패널로 돼 있었다고 하는데요. 매번 대형 화재마다 지적되는 샌드위치 패널, 이번에도 불쏘시개 역할을 한 것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질문 7> 어제 불이 난 화성 리튬전지 제조업체는 최근 소방시설에 대한 자체 점검을 한 뒤 소방당국에 "양호하다"고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소방당국이 점검하는 곳과 이렇게 자체 조사를 하는 곳이 따로 있는 건가요?

<질문 7-1> 고용노동부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도 조사할 계획입니다. 앞서 리튬전지에 대한 위험성에 대해 이야기했지만, 리튬전지를 '일반화학물질'로 분류해 별도의 대응 매뉴얼이 없다면 중대재해법상으론 문제가 없는 거 아닌가요?

<질문 8> 10시 30분부터 경찰 등 관계 당국이 합동 감식에 나설 예정입니다. 어떤 점을 중점적으로 봐야 할까요?

<질문 8-1> 화재 원인 규명 등을 위해 수사당국도 130여 명의 전담 수사팀을 구성했고, 수원지방검찰청도 전담 수사팀을 편성했습니다. 이번 사고가 화학공장 사고 중 그만큼 큰 사고라고 볼 수 있을까요?

<질문 9> 리튬 배터리 제조 분야는 고부가가치가 높은 첨단 산업입니다. 그만큼 안전사고에 대한 대비도 철저히 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참사가 되풀이되지 않으려면 어떤 대책이 필요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