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중국, 북·러 우호관계 발전 환영?…밀착에는 경계심

세계

연합뉴스TV 중국, 북·러 우호관계 발전 환영?…밀착에는 경계심
  • 송고시간 2024-06-18 17:17:48
중국, 북·러 우호관계 발전 환영?…밀착에는 경계심

[앵커]

중국 연결해 보겠습니다.

오늘 서울에서는 한중 외교·국방 고위급이 만나는 '2+2' 대화도 있는데요.

중국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에 대해 어떤 입장을 내놨습니까?

[기자]

예, 중국은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교류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논평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러시아와 북한이 전통적 우호 관계를 공고히 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환영한다고 말한 바 있는데요.

이런 가운데 중국 민영매체인 차이신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으로 북러 간 군사 관계가 과열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 수준의 긴밀한 군사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까 우려스럽다"고 보도했는데요.

당국을 의식해 중국 매체가 보도를 자제한 관례에 비춰볼 때 이례적이라는 평가입니다.

일각에서는 중국 당국이 민간 매체를 통해 북한과 러시아 모두에 경계심을 표시한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는데요.

중국은 북한과 러시아의 지나친 밀착이 자칫 신냉전을 초래할 수 있다는 데 우려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신냉전이란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한국과 일본, 서방 등 동맹국과의 대결을 의미합니다.

중국은 1961년 조중 우호조약을 통해 북한과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 조약을 맺은 상태죠.

북러 양국이 새 조약을 맺게 되면, 중국도 함께 엮이게 되는 구조가 되면서, 북중러 구도 속에 서방의 공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가운데 서울에서는 외교·국방 고위당국자들이 참여하는 '2+2' 대화가 열리고 있습니다.

중국은 이번 대화가 다른 국가와 특별한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지만, 북한과 러시아가 밀착하는 것에 대해서는 경계하는 눈치입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에 맞춰 '2+2' 회의가 열리는 것 자체가 그에 대한 방증이란 얘기입니다.

<린젠 / 중국 외교부 대변인> "이번 대화에서 중국은 양국 관계를 발전시키고 개선하는 방안에 대해 한국 측과 의견을 교환할 예정입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 교류와 협력을 심화하며, 공통 관심사인 국제 및 지역 문제에 대해 필요한 소통을 하는 데 중점을 둘 것입니다."

중국은 최근 스위스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평화 회담에도 불참했습니다.

별도의 당사자들이 포함된 회의체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한 발 물러선 모양새입니다.

중국은 미국과 전략경쟁이 가열될수록 유럽 각국과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는데요.

중국은 핵심 이익과 관련해서는 미국과 충돌하고 있지만, 미국과의 관계는 안정적 관리에 힘쓰고 있죠.

북한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제공하는 상황에서 북중러가 하나로 엮이는 것에 대해 부담을 가지고 있는 겁니다.

여기다 러시아가 북한에 미사일 관련 첨단기술을 전달할 가능성도 중국에는 불편한 상황이 됩니다.

중국 입장에서는 관련 기술을 전수받을 경우 북한이 더욱 도발적으로 나올 가능성이 있는데, 한반도 상황을 관리하고 싶은 중국에는 부담 요인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중국은 북러 정상회담에 암묵적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북러 간 거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관리하는 데 주안점을 둘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baesj@yna.co.kr)

#中외교부 #북러정상회담 #푸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