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의료대란' 현실화 될까…의료계 전반에 총파업 전운

경제

연합뉴스TV '의료대란' 현실화 될까…의료계 전반에 총파업 전운
  • 송고시간 2024-06-16 13:13:59
'의료대란' 현실화 될까…의료계 전반에 총파업 전운

[앵커]

의과대학 교수부터 개원의까지 의료계 전반에 총파업 전운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당장 내일(17일)부터 서울의대가 무기한 휴진에 들어가는데요.

정부는 이들을 향해 휴진 계획을 철회할 것을 다시 한번 촉구했습니다.

김수빈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내일부터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에 돌입합니다.

서울대 의대 비대위는 20개 임상과목에서 진료하는 967명 교수 중 54.7%가 휴진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이로써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등 전체 임상과목 정상 진료가 멈추고, 수술장 예상 가동률 역시 62.7%에서 33.5%로 낮아질 전망입니다.

연세대 의대 비대위도 18일 하루 대한의사협회의 집단 휴진에 참여한 후,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갑니다.

앞서 의협은 18일 전면 휴진을 하고 전국의과대학교수협회와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 등이 참여하는 전국의사 '총궐기대회'를 열겠다고 밝혔습니다.

개원의를 주축으로 이뤄진 의협은 회원들에게 '18일 병의원 휴무를 설정하라'라고 문자를 보내며 휴진 참여를 독려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휴진에 참여하겠다고 사전에 신고한 전국 병의원은 1,400여곳으로, 전체 의료기관의 4% 수준입니다.

의사단체 사이에서는 단체 휴진을 두고 불협화음이 커지고 있습니다.

분만병의원협회, 대한아동병원협회,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 등은 "휴진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이 가운데 정부는 의사 단체들의 휴진 계획 철회와 전공의들의 복귀를 재차 촉구했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오늘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90여개 환자단체가 의료계 휴진 철회 호소하고 있는데도 집단휴진 결정을 바꾸지 않는 데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헌법과 법률에 따른 조치를 아예 없었던 일로 만들라는 말은 몇 번을 고심해도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의대 정원 증원 백지화는 수용이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장기간 이어지는 의정갈등 속, 실질적 대규모 파업이 가시화되면서 환자들의 불편만 커질 거란 지적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뉴스TV 김수빈입니다. (soup@yna.co.kr)

#의료대란 #총궐기대회 #총파업 #의협 #서울의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