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바다서도 "후 불어주세요"…음주항해 잡는 해양경찰 VTS

사회

연합뉴스TV 바다서도 "후 불어주세요"…음주항해 잡는 해양경찰 VTS
  • 송고시간 2024-05-25 09:36:35
바다서도 "후 불어주세요"…음주항해 잡는 해양경찰 VTS

[앵커]

바다 위 관제탑을 일컫는 해상교통관제센터, VTS가 해양수산부에서 해양경찰청으로 이관된 지 10년 짼데요.

역할이 해양사고 예방에 초점 맞춰지면서 관제구역도 확대되고 음주운항 등에 대한 대응도 빨라졌다고 합니다.

김유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해양경찰관(작년 11월 3일)> "잘 불어주세요. (불까요?) 네, 불어주세요."

작년 11월 목포 앞바다, 한 선장이 음주측정을 받고 있습니다.

음주운항이 의심된다는 내용을 전달받은 해양경찰이 출동해 확인에 나선 겁니다.

바로 다음날엔 인천에서 실제로 술에 취한 채 배를 몰다 붙잡히기도 했습니다.

<인천항해상선박교통관제 센터 관제사(작년 11월 4일)> "그대로 항해 진행하시면 안됩니다."

이렇게 음주운항이 의심되는 선박을 탐지해 경찰에 전달하는 곳은 각 지역 VTS, 즉 해상교통관제센터입니다.

"이 곳은 인천항에서 16㎞ 떨어져있는 팔미도인데요.

이곳을 오가는 사실상 모든 선박은 선박교통관제 센터의 관리 감독을 받고 있습니다.

전국의 VTS 19곳에서 관제사 603명이 24시간 근무 체제를 유지 중입니다.

<김종욱 / 해양경찰청장> "과거엔 통보받고 출동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 지금은 매일 매시간 교신함으로 인해서 사고 예방과 사고가 발생했을 때 즉시 출동하는 상시 시스템이 구축되었습니다."

센터와의 합동 단속만 보면 해경은 재작년 7건, 작년 5건 등 10년 간 음주운항 54건을 적발했습니다.

지난해 2월에는 전남 신안군 바다에서 한 어선이 전복됐다는 내용을 VTS를 통해 전달받아 해경이 구조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VTS 관제 면적은 이관 후 10년 동안 84% 확대돼 우리 영해 면적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는데, 해경은 제주·서귀포와 동해·포항 해역에도 순차적으로 구축해 운영할 방침입니다.

또 인공지능을 활용한 관제 지원기술과 함께 VTS 데이터를 공유하는 통합연계망 기술도 개발해 적용할 예정입니다.

연합뉴스TV 김유아입니다. (kua@yna.co.kr)

[영상취재 : 이상혁]

#VTS #선박교통관제 #해양사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