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뉴스포커스] 이스라엘, 확전 가능성 시사…미 "일시 교전 중지 모색"

세계

연합뉴스TV [뉴스포커스] 이스라엘, 확전 가능성 시사…미 "일시 교전 중지 모색"
  • 송고시간 2023-11-03 11:05:42
[뉴스포커스] 이스라엘, 확전 가능성 시사…미 "일시 교전 중지 모색"

<출연 : 백승훈 한국외대 중동연구소 전임연구원>

이스라엘이 본격적인 지상전에 돌입한 가운데 사흘 연속 난민촌을 공습하며 수십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이스라엘은 아직 절반의 병력도 투입하지 않았다며 지상전 확대 가능성을 시사했는데요.

미국은 인도적 차원에서 국지적으로 교전을 일시 중지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남부와 이집트를 잇는 라파 국경 검문소가 개방되면서 수백명이 탈출한 것으로 확인됐는데요.

이스라엘에 체류 중인 한국인과 가족 16명도 일본 군 수송기로 현지를 출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관련 내용들, 백승훈 한국외대 중동연구소 전임연구원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질문 1> 이스라엘군에 따르면 여러 방향에서 가자시티를 포위하며 가자시티 외곽을 통과했다고 하는데요. 그러면서 전투의 정점에 있다고도 밝혔습니다. 전쟁 2단계를 선언한 지 거의 일주일이 되어 가는데요. 현재 가자지구는 어떤 상황이며, 지상전 상황은 어느 정도 와 있다고 보시나요?

<질문 1-1> 이스라엘이 지난달 31일부터 사흘 연속 자발리아 난민촌을 공습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이스라엘이 자발리아 지역을 집중 공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질문 2> 이스라엘의 난민촌 공격으로 민간인 희생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데요. 국제사회는 이스라엘이 사전 경고도 하지 않고 마구잡이식 공격을 하고 있다며 비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전쟁 발발 이후 팔레스타인 사망자 수가 9천명을 넘었다고 하는데, 그동안 여러 차례 전쟁이 있어 왔지만 지금처럼 큰 사상자가 난 적이 있었나요?

<질문 2-1> 미국은 계속해서 휴전이 아닌 인도적 차원에서 일시적으로 교전을 중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미국이 일시적 교전 중지를 요청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이스라엘이 이 같은 미국의 주문을 받아들일까요?

<질문 3> 하마스에 붙잡힌 인질들을 구출하기 위해 미국에서 특수부대를 이스라엘에 파견했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또 이스라엘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이번에는 이스라엘과 어떤 논의를 하게 될까요?

<질문 3-1> 이스라엘과 요르단 정부와 만나 두 국가 해법 실현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라고 하는데, 그동안 바이든 정부는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해 왔지만, 적극적으로 관여하지는 않았거든요? 전쟁이 격화된 상황 속에서 미국의 중재가 어느 정도 성과를 낼 수 있을까요?

<질문 4> 현재 인질 석방 협상은 이집트와 카타르가 중재에 나서 진행되고 있는데요. 하마스가 조만간 인질 일부를 석방하겠다고 밝힌 상황에서 미국이 인질 구출을 위해 특수부대까지 이스라엘로 파견하고, 블링컨 장관이 또다시 이스라엘까지 방문합니다. 이번엔 어느 정도 협상이 이루어질까요?

<질문 4-1> 태국이 하마스와 접촉해 자국민 인질의 안전한 석방을 약속받았다고 하는데요. 인질로 잡혀 있는 나라들이 개별적으로 하마스와 접촉을 하고 있고, 하마스 역시 외국인 인질들은 일부 석방하겠다고 밝힌 상황입니다. 전쟁에서 인질은 전쟁을 유리하게 끌고 가기 위한 협상카드인데요. 하마스는 이번 전쟁에서 인질들을 어떤 전략으로 활용할 거라고 보시나요?

<질문 5> 가자지구에서 이집트로 탈출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인 라파 검문소가 개방됐는데요. 그동안 이집트는 대규모 팔레스타인 난민 유입을 우려해 구호품만 통과만 허용하고 사람들의 이동은 막아왔는데, 이렇게 외국 국적과 환자들의 이동을 허가한 이유는 뭐라고 보세요?

<질문 5-1> 외교부에 따르면 가자지구에 머물고 있던 한국인 일가족 5명도 무사히 대피해 이집트 카이로에 도착했고, 이스라엘에 체류하던 한국인 가족들도 일본 군 수송기로 한국으로 오는 중입니다. 가자지구는 물론이고, 이스라엘에 거주하시는 교민들도 불안감을 느끼고 이스라엘을 떠나고 있다는 건 그만큼 현지 상황이 좋지 않다는 의미겠죠?

<질문 6> 현재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포위한 상태인데요. 전쟁이 발발한 지 이제 조금 있으면 한 달이 다 되어갑니다. 이스라엘과 이집트 국경이 차단된 상태인데요. 이스라엘과 사실상 전면전에 들어간 상태에서 하마스는 무기 조달을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질문 6-1> 한편 이스라엘은 현재 병력의 절반도 투입하지 않았다며 앞으로 지상전 확대 가능성을 시사했는데요. 이스라엘 하마스 양측 모두 서로의 궤멸을 주장하며 한 치도 물러서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지상전이 언제까지 계속될 수 있을 거라고 보시나요?

<질문 7>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발발한 지 거의 한 달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전쟁이 장기전에 들어서게 되면 5차 중동전쟁으로 확전될 가능성도 커진다고 볼 수 있을까요? 어떤 상황이 발생하면 이란이 이 전쟁에 개입하게 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