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이송규 한국안전전문가협회장>
지난해 10월 29일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오늘로 1년이 된 가운데 추모 행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시 논란이 됐던 인파 관리 대책은 얼마나 달라졌는지, 이송규 한국안전전문가협회장과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질문 1> 159명의 안타까운 목숨을 앗아간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꼭 1년이 됐습니다. 당시 초기 대응 등을 두고 거센 비판이 일었는데요. 지금 시점에서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가장 큰 원인은 어디에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2> 참사 이후 재난안전관리 시스템은 얼마나 달라졌을까요. 우선 서울시는 올해 핼러윈을 앞두고 AI 인파감지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있을까요?
<질문 3> 경찰은 반경 50m 내에서 1시간 내에 3번 이상 신고가 접수될 경우 이를 반복 신고로 감지하는 시스템을 도입했고요. 연내 시행을 목표로 정부도 인파 관리 시스템의 시범 운영에 나섰습니다. 효과가 있을까요?
<질문 4> 경찰은 다중 밀집 현장의 대응 인력을 크게 늘리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당시 사고를 기점으로 기동대원들의 초과근무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하는데요. 국가 차원의 안전시스템 개편도 필요해보입니다. 어떤 방향이 돼야할까요?
<질문 5> 1년 전 이태원 핼러윈 축제는 주최자가 없었고 무방비로 치러졌습니다. 그런데 '주최자가 없는 축제'에 대한 지자체의 관리 책임을 강화하는 '재난안전법' 개정안은 여전히 국회에 계류 중입니다. 당장 가능한 대책이 있을까요?
<질문 6> 이태원 참사 이후에도 오송 지하차도 참사와 과천 방음터널 화재 등 사고 대응이 미흡해서 피해가 컸던 경우도 있는데요. 이미 사고가 발생한 뒤에 경찰-소방의 상황 정보 공유 시스템과 출동 시스템 등은 얼마나 개선이 됐다고 보세요?
<질문 7> 올해는 이태원 일대에 집중됐던 인파가 서울 홍대와 강남, 명동 등에 쏠릴 거란 우려가 나오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인파가 몰리는 지역에서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할까요?
<질문 8> 비슷한 사고를 막기 위해 합동 순찰대는 보행로 확보에 주력했고, 정부는 인파 집중 관리에 나서는 등 선제적 대응 움직임이 일고 있지만, 수많은 인파에서 갇혔을 때 대응방법을 익히고 있는 것도 중요할 것 같은데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