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이 오래전부터 예고했던 정찰위성 발사가 현실로 다가왔습니다.
정부는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으며, 북한이 끝내 정찰위성 발사를 강행하면 그에 대한 응분의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최지원 기자입니다.
[기자]
북한은 2021년 1월 노동당 8차 대회에서 군사정찰위성 개발 계획을 공식화했습니다.
이후 작년에만 세 차례나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시험을 진행하는 한편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확장 공사도 병행해왔습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북한은 최근 발사준비를 마친 정찰위성 실물까지 공개했습니다.
당시 북한 매체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위성발사준비위원회를 찾아 정찰위성을 참관하고 "차후 행동계획을 승인했다"고 전했습니다.
<조선중앙TV>(지난 17일) "총조립상태점검과 우주환경 시험을 최종적으로 마치고 탑재준비가 완료된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돌아보시였다."
이처럼 정찰위성이 완성됐음에도 북한이 2주가 지나서야 발사 계획을 확정한 것은 동창리 위성발사장 공사와 연관이 있어 보입니다.
북한이 일본에 가장 먼저 위성발사 계획을 통보한 것은 일본이 국제해사기구(IMO) 총회 결의서에 따른 항행구역 조정국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통보로 북한이 오래전부터 예고해온 첫 정찰위성 발사는 본격적인 '카운트다운'에 들어갔습니다.
다만, 북한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등 다른 국제기구에는 위성발사 계획을 아직 통보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계획이 알려지자 국가안보실은 조태용 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외교부는 대변인 성명을 통해 북한이 끝내 정찰위성 발사를 강행한다면 "그에 대한 응분의 대가와 고통을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발사 계획 즉각 철회를 촉구했습니다.
외교부는 한미일 3국의 북핵 수석대표가 전화 협의를 통해 북한이 공개한 위성 발사 계획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전했습니다.
연합뉴스TV 최지원입니다. (jiwoner@yna.co.kr)
#북한_정찰위성 #NSC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