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00:00
00:00
[앵커]
하림·마니커 등 닭고기 시장을 지배하는 16개 업체가 무려 12년간 서로 짜고 치킨 등에 쓰이는 닭고깃값을 올려온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과징금만 1,700억원대에 검찰에 가서 수사받을 업체도 여러 곳입니다.
김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언젠가부터 프랜차이즈 치킨 한마리 가격은 2만원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성락환 / 서울 동작구> "소비자들에게 부담이 되는 건 사실인 것 같습니다. 품질 변화는 없을 것 아니겠어요."
<안수지 / 서울 도봉구> "예전 같은 경우 쉽게 시켜 먹는 음식이었는데 이제는 뭔가 서민 음식이 아닌 것 같습니다."
여기엔 치킨, 닭볶음탕 등에 쓰이는 닭 공급업체들이 짜고 가격을 올린 것이 한 몫 했습니다.
하림, 마니커 등 소비자들에게 익숙한 업체들을 포함해 담합에 가담한 곳이 16곳, 담합 기간도 2005년부터 무려 12년이었습니다.
닭고기 시장 77% 이상을 장악한 이들 업체가 짜고 값을 올린 것은 공정거래위원회가 확인한 것만 45차례에 달합니다.
달걀이나 병아리를 일부러 없애 닭 마릿수를 줄여 값을 올리는가 하면, 도축 비용을 올리거나 가격 할인을 서로 자제하는 방식으로 값을 올리기도 했고 출고량을 줄이려 동시에 대량 냉동 비축하는 등 갖가지 방법이 동원됐습니다.
<조홍선 / 공정거래위원회 카르텔조사국장> "최종 공급량에 영향을 미치는 육계 신선육 냉동비축량과 병아리 입식량에 대해서도 담합하는 등 가능한 담합 수단을 광범위하게 활용하였습니다."
공정위는 시정명령과 함께 총 1,758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는 한편, 가담 정도를 고려해 하림 총수 김홍국 회장의 아들 회사인 올품을 포함 5개 업체는 검찰에 고발했습니다.
담합업체들이 가입된 육계협회는 정부 정책에 따라 이행한 수급 조절이었고, 제재로 닭 사육 농가가 피해를 입을 것이란 입장을 내놨습니다.
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
#치킨 #담합 #육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