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누적된 우울감이 극단적 선택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포스트 코로나 대비 자살 예방 강화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박진형의 출근길 인터뷰> 오늘은 백종우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를 만나 관련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경희대병원>에 나가 있는 박진형 기자 나와 주시죠.
[기자]
코로나 사태가 길어지면서 사회 전반에서 우울감이 확산하는 등 자살 위험신호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하는데, 현 상황 어떻게 진단하십니까?
[백종우 /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보건복지부와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가 지금 1년간 5번 조사를 했는데요. 지금이 제일 안 좋았습니다. 우울증 고위험군이 20%가 넘고 자살을 생각하는 국민이 16%, 평소의 4~5배 정도로 국민 정신건강이 상당히 위협받는, 많은 사람들이 재난 피해자가 된 거 아닌가 이렇게 보는 상황입니다.
[기자]
감염병, 지진, 전쟁 등 국가적 재난 시기에는 사회적 긴장, 국민적 단합 등으로 자살 사망 감소 경향이 있다고 하던데, 실제로 그렇습니까?
[백종우 /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재난의 특히 초기에는 다 같이 힘드니까 우리 함께 이겨내보자, 또 구조하자 이러면서 자살이 감소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홍콩에 사스가 돌았을 때도 1년 후 노인 자살이 증가했고 동일본 대지진 때 일부는 2년 후에 현실이 안 변하는구나 하는 중장년층 자살이 증가했고 실제 코로나 이후에 작년에 자살이 증가하고 있거든요. 우리도 마음을 놓을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기자]
코로나로 인한 경제·사회적 영향이 본격화하는 2∼3년 뒤 '극단적 선택'이 급증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데, 전문가로서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백종우 /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왜냐하면 초반에는 다 같이 힘들고 이겨내보자 이런 분위기가 형성이 되는데 오래 갈수록 가장 약한 분들은 피곤이 또 피로가 또 피해가 누적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자]
정부는 특히 20.30대 여성에 대한 정서적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는데요. 코로나 장기화와 함께 최근 젊은 여성의 자살률이 높아지고 있는 배경은 어디에 있다고 보십니까?
[백종우 /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다행히 우리나라는 현재까지는 자살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일본이 작년 10월부터, 10월에 40%가 늘었거든요, 전년 대비. 그 중 가장 많은 비율이 20~30대 여성이었습니다. UN에서도 우리나라 문제 뿐만이 아니라 UN도 이게 비정규직 휴먼 서비스에 여성이 많다, 여성의 부양 부담이, 학교도 못 가고 부모님들 케어와 관한 부양 부담이 증가하고 도움을 받아야 되는데 코로나 때문에 거리두기로 제한되기 때문에 20~30대 여성이, 물론 모든 연령대가 다 힘들지만 특히 또 피해를 보고 있다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기자]
지금까지 박진형의 출근길인터뷰였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