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7개국 정상회의, G7에 우리나라와 러시아 등 4개국을 포함하는 구상을 밝혔습니다.
한국이 참여하는 'G11'이라는 새로운 선진국 클럽이 탄생할지 주목되는 가운데, 대외 정세가 복잡하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오늘의 <한반도 키워드>, 'G7'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지난달 30일, 당초 6월로 예정돼 있던 G7 정상회의를 9월쯤으로 늦추고, 한국과 호주, 러시아, 인도를 초정하고 싶다는 의사를 나타냈습니다.
"현재의 G7은 매우 낡은 국가 그룹"이라면서 이런 방침을 밝힌 건데요.
G7은 선진 7개국의 정책협의모임으로 미국과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이 가입돼 있습니다.
여기에 한국을 포함한 4개국을 더해 'G11'이라는 새로운 선진국 클럽을 만드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이라는 관측입니다.
이와 관련해 지난 1일, 한미 정상이 전화 통화를 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공식 초청 의사를 밝혔고, 문재인 대통령은 "기꺼이 초청에 응할 것"이라고 화답했다고 청와대는 전했습니다.
G7 정상회의에 한국이 참여한다면 코로나19 방역에서 국제적 호평을 받는 상황을 부각시키며 한국의 위상을 한층 강화하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또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경제위기 극복에 국제사회의 협력을 강조하며, 우리 기업들의 활로를 여는 노력도 할 수 있게 되는데요.
<강민석 / 청와대 대변인> "G11 또는 G12의 정식 멤버가 될 경우 우리나라의 국격 상승과 국익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문제는 중국과의 관계입니다.
코로나19 사태 책임론에 이어 홍콩 국가보안법 문제를 놓고 미국과 중국은 갈등이 깊어지고 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G7 확대 구상을 밝히며 "중국 문제에 대한 논의를 희망한다"고 말해 중국을 고립시키겠다는 의도를 숨기지 않고 있습니다.
실제로 기존 G7 회원국에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한국과 호주, 러시아, 인도를 포함하면 지정학적으로 중국을 포위하는 형태입니다.
정상회의의 외연을 넓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기회로 삼으려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케일리 매커내니 / 미 백악관 대변인> "트럼프 대통령은 저에게 중국의 노력과 관련해 불쾌하며, 중국이 홍콩을 접수한다면 홍콩이 어떻게 금융 중심지로 남을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해온 우리 정부에게는 외교적 부담일 수밖에 없는데요.
하반기 시진핑 중국 주석의 방한과 맞물려 민감한 문제가 될 수도 있는 만큼, 세심한 외교적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는 평가입니다.
한편, G7 기존 회원국으로서 중국을 압박하려는 미국의 의도에 어쩔 수없이 개입해야 하는 상황이 돼버린 일본도 입장이 난감할 수밖에 없는데요.
일본 정부에게 더 곤혹스러운 건, 트럼프 대통령이 G7을 G11으로 확대할 의향을 밝혔다는 그 자체입니다.
G7을 재편해 한국과 인도를 포함하면 유일한 아시아 국가였던 "일본의 존재감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겁니다.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은 '아웃 리치' 즉 초대국으로 초청하는 건 의미가 있지만 G7 틀을 어떻게 할 것인지는 완전히 별개"라면서 정식 회원국 확대에는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습니다.
다른 관련국들 역시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고 있는데요.
특히 유럽연합과 영국, 캐나다는 G8 회원국이었다가 2014년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강제병합 이후 모임에서 제외됐던 러시아의 가입에 반대하고 나섰습니다.
초대를 받은 러시아마저 "중국도 참여해야 한다"면서 발을 빼고 있어 트럼프 대통령의 G7 확대 구상은 구체화기도 전에 난관에 부딪힌 형국입니다.
이런 분위기에서 중국도 반발하고 있는데요.
<자오리젠 / 중국 외교부 대변인> "중국을 겨냥해 왕따를 시키는 것은 인심을 얻지 못할 것입니다. 이런 행위는 관련국의 이익에도 부합하지 않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회의 시기는 오는 9월입니다.
회의 테이블에 자리할 국가들의 명단에 관심이 쏠린 가운데 한국의 위상을 강화하려는 우리 정부의 외교가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한반도 키워드>, 오늘은 'G7'이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