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김대호의 경제읽기]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코스피·코스닥 '매수 사이드카' 발동

경제

연합뉴스TV [김대호의 경제읽기]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코스피·코스닥 '매수 사이드카' 발동
  • 송고시간 2020-03-20 18:09:47
[김대호의 경제읽기]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코스피·코스닥 '매수 사이드카' 발동

<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

우리나라와 미국이 600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77조 원 규모의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영향 때문이었을까요?

오늘 코스피와 코스닥이 급등하며 2년 만에 매수 사이드카가 발동되기도 했는데요.

자세한 상황, <김대호의 경제읽기> 김대호 경제학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한미 통화스와프 계약 체결되며 파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통화스와프가 국내 외환시장 안정화에 큰 도움이 될 거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는데요. 통화 스와프가 구체적으로 무엇이기에 기대감이 모이는 건가요?

<질문 1-1> 미 연준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호주와 브라질 등 9개국 중앙은행과도 통화스와프 협정을 맺었는데 어떤 취지라고 볼 수 있을까요?

<질문 2> 이번에 한미 간 체결된 통화스와프 규모는 600억 달러로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2배이고 계약기간은 최소 6개월로 오는 9월까지입니다. 규모와 기간, 적절하다 보시나요?

<질문 2-1> 이미 체결된 한미 통화스와프뿐만 아니라 2015년 중단된 한일 통화스와프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어떤 이유인가요? 필요하다 보세요?

<질문 3> 이번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이 2008년처럼 시장 안정에 효과적인 촉매제가 될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코로나19가 실물경제에 준 타격을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없어 이번에는 효과가 덜할 거라는 건데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질문 4> 미국 증시가 반등한데 이어 어제 서킷브레이커까지 발동하며 급락을 보였던 국내 증시가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프로그램 매수 호가 효력이 일시 정지되는 사이드카가 발동되기도 했는데요. 통화스와프가 벌써 효과를 발휘하는 걸까요?

<질문 5> 문재인 대통령은 다음 주 제2차 비상경제회의를 열고 민생·금융안정 패키지를 추가 발표할 예정입니다. 채권시장안정펀드 재가동과 증권시장안정펀드 조성 등과 관련된 세부 대책이 대상이라는데 방향성 잘 잡혀가고 있다 보시나요? 기업들의 안전판이 되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던데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