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분기 중국의 벌크선 수주량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선·해운 전문지인 트레이드윈즈는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하우 로빈슨 통계를 인용해 올해 1분기(1∼3월) 중국 조선업체들에 대한 벌크선 주문량이 13건으로, 1993년 이후 32년 만에 가장 적었다고 보도했습니다.
ADVERTISEMENT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43건 대비 90.9% 감소한 수치입니다.
벌크선은 중국의 수주 점유율이 절반이 넘는 주력 선종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앞서 미국에 입항하는 중국산 선박에 대해 최대 150만 달러에 달하는 수수료 부과를 추진하는 가운데, 미국의 견제 움직임이 효과를 보고 있는 것이란 분석입니다.
앞서 미 무역대표부(USTR)는 올해 1월 중국 정부의 해운, 물류 및 조선업에 대한 재정 지원, 외국 기업에 대한 장벽 등으로 미국 상업 활동을 저해하는 불합리한 행위가 발생했다며 중국 선사와 중국산 선박을 무역법 301조에 따른 제재 대상에 올렸습니다.
이러한 결정에 따라 자국 항구에 들어오는 중국산 선박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미국에 입항하는 중국 선사 소속 선박에는 100만달러(14억원), 중국에서 건조된 선박에는 150만달러(21억원)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이 유력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미국 정부의 움직임에 힘입어 한국 조선업계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수주 훈풍을 맞을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트레이드윈즈는 미국의 LNG 업체 벤처 글로벌이 최근 한국을 찾아 국내 '빅3' 조선업체인 HD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조선소를 시찰했다고 소개했습니다.
이 업체는 18만㎥급 LNG운반선 4척에 옵션 8척을 더해 최대 12척 발주에 대한 협상을 진행했는데 계약은 이르면 올해 2분기 말 체결될 예정입니다.
트레이드윈즈는 벤처 글로벌이 미국의 대(對) 중국 규제를 고려해 이번 입찰에서 중국 조선소를 제외했다고 부연했습니다.
#조선 #중국 #트럼프 #관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임혜준(junelim@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시각 주요뉴스
경제 최신뉴스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