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00:00
00:00
서울에서도
경기에서도
부산에서도
'쿵'
'어느 날, 땅이 꺼졌다'
전국 곳곳 연이어 발생하는 땅꺼짐 사고
시민들 '싱크홀 포비아' 확산
특히 서울시는 2014년 부터 땅꺼짐 위험도를 다섯 단계 나눠 안전지도 제작했지만 '집값 하락' 우려로 공개하지 않아
"나라가 안 하면 나라도 하자"
'싱크홀 지도' 직접 만든 시민 등장
과학전문매체 기자로 활동했던 윤신영 씨
지난 2024년 서울 연희동 사고 때부터 '땅꺼짐' 지도를 제작하기로 결심
[윤신영|프리랜서 과학 기자]
" (작년) 서울 연희동에서 싱크홀 사고가 발생했을 때 관련 정보를 찾았는데 별로 없더라고요. 서울 한복판에서 나서 사람들이 많이 주목을 했잖아요. '내 지역에서 싱크홀이 벌어질까?' 이런 것들을 아무래도 가장 궁금해 할 것 같았어요. 그런데 막상 (자료를) 찾았더니 과거 이력도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자료도 전무해서 (제작하기로) 결심했어요 "
직접 만든 '싱크홀 지도' 공개
2018년 자료부터 지금까지 발생한 사고 무려 1,400건 넘었는데
[윤신영|프리랜서 과학 기자]
"싱크홀은 상대적으로 정부가 정보를 잘 관리하고 있던 축에 속해요. 국토안전관리 부서에서 꽤 상세하게 관리하고 있던 데이터를 요청해서 받을 수 있었고요. 최근에 있었던 싱크홀 사고들을 추가해서 제작할 수 있었습니다"
사이트 접속 후 알아보고 싶은 지역을 찾아 지도에 표시된 점으로 사고 발생 위치와 연도를 파악할 수 있어
땅꺼짐 원인은 크게 두 가지
건설 활동과 노후된 하수관
[윤신영|프리랜서 과학 기자]
"하수관이 파손되면서 물이 나오고 토양이 물러지면서 싱크홀이 발생하는 수순인데, 그 비율이 절반 가까이 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위험한 시기가 있는데
바로 곧 다가올 '여름'
[윤신영|프리랜서 과학 기자]
"비 때문에 많이 물러지고, 집중호우 같은 경우에는 하수관에 부하가 많이 걸리면서 손상도 많이 되기 때문에 여름철에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재발 방지 등 대책 마련 시급한데...
[윤신영|프리랜서 과학 기자]
"하수관이 오래된 곳이 있으면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고 필요하다면 교체를 하는 것이 중장기 대책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
시민들을 위해 앞으로도 지도를 업데이트할 계획이라고
[윤신영|프리랜서 과학 기자]
"지금은 사고를 누적해서 보여주는 건데, 여기서 그치지 않고 지자체나 전문가들이 하고 있는 조사나 연구 결과들 반영해서 미래 위험성 같은 것도 예측할 수 있는 지도나 사이트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아요."
#싱크홀 #땅꺼짐 #사고 #싱크홀지도 #전국지도 #원인 #하수관노후 #씬속뉴스 #연합뉴스TV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백채은(ce100@yna.co.kr)
경기에서도
부산에서도
ADVERTISEMENT
'쿵'
'어느 날, 땅이 꺼졌다'
전국 곳곳 연이어 발생하는 땅꺼짐 사고
시민들 '싱크홀 포비아' 확산
특히 서울시는 2014년 부터 땅꺼짐 위험도를 다섯 단계 나눠 안전지도 제작했지만 '집값 하락' 우려로 공개하지 않아
"나라가 안 하면 나라도 하자"
'싱크홀 지도' 직접 만든 시민 등장
과학전문매체 기자로 활동했던 윤신영 씨
지난 2024년 서울 연희동 사고 때부터 '땅꺼짐' 지도를 제작하기로 결심
[윤신영|프리랜서 과학 기자]
" (작년) 서울 연희동에서 싱크홀 사고가 발생했을 때 관련 정보를 찾았는데 별로 없더라고요. 서울 한복판에서 나서 사람들이 많이 주목을 했잖아요. '내 지역에서 싱크홀이 벌어질까?' 이런 것들을 아무래도 가장 궁금해 할 것 같았어요. 그런데 막상 (자료를) 찾았더니 과거 이력도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자료도 전무해서 (제작하기로) 결심했어요 "
직접 만든 '싱크홀 지도' 공개
2018년 자료부터 지금까지 발생한 사고 무려 1,400건 넘었는데
[윤신영|프리랜서 과학 기자]
"싱크홀은 상대적으로 정부가 정보를 잘 관리하고 있던 축에 속해요. 국토안전관리 부서에서 꽤 상세하게 관리하고 있던 데이터를 요청해서 받을 수 있었고요. 최근에 있었던 싱크홀 사고들을 추가해서 제작할 수 있었습니다"
사이트 접속 후 알아보고 싶은 지역을 찾아 지도에 표시된 점으로 사고 발생 위치와 연도를 파악할 수 있어
땅꺼짐 원인은 크게 두 가지
건설 활동과 노후된 하수관
[윤신영|프리랜서 과학 기자]
"하수관이 파손되면서 물이 나오고 토양이 물러지면서 싱크홀이 발생하는 수순인데, 그 비율이 절반 가까이 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위험한 시기가 있는데
바로 곧 다가올 '여름'
[윤신영|프리랜서 과학 기자]
"비 때문에 많이 물러지고, 집중호우 같은 경우에는 하수관에 부하가 많이 걸리면서 손상도 많이 되기 때문에 여름철에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재발 방지 등 대책 마련 시급한데...
[윤신영|프리랜서 과학 기자]
"하수관이 오래된 곳이 있으면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고 필요하다면 교체를 하는 것이 중장기 대책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
시민들을 위해 앞으로도 지도를 업데이트할 계획이라고
[윤신영|프리랜서 과학 기자]
"지금은 사고를 누적해서 보여주는 건데, 여기서 그치지 않고 지자체나 전문가들이 하고 있는 조사나 연구 결과들 반영해서 미래 위험성 같은 것도 예측할 수 있는 지도나 사이트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아요."
#싱크홀 #땅꺼짐 #사고 #싱크홀지도 #전국지도 #원인 #하수관노후 #씬속뉴스 #연합뉴스TV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백채은(ce100@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시각 주요뉴스
사회 최신뉴스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