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여야 원내대표가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로 오늘(4일) 오후 회동하고 국정협의회 재개 등에 대해서 의견을 나눕니다.

여야는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문제를 놓고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을 향한 압박도 이어갔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서 들어보겠습니다.

ADVERTISEMENT



양소리 기자.

[기자]

네, 국회입니다.

마 후보자 임명 문제에 관한 여야 입장은 정반대인데요.

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아침 회의에서 최 대행이 이 문제에 관한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국무위원 간담회를 개최한 것을 두고, "논의할 필요도 없고, 즉시 임명하면 되는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박 원내대표 발언 들어보시겠습니다.

<박찬대/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최상목 대행의 임무와 역할은 국정 정상화이지, '내란 대행'이 아닙니다. 최상목 대행은 오늘 즉시 마은혁 재판관을 임명하십시오."

최 대행의 거부권 행사 사례를 열거하며 "9급 공무원도 이렇게 막 나가면 중징계를 피할 수 없다"고도 압박했습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최 대행이 마 후보자를 임명해선 안 된다고 거듭 촉구했습니다.

박수영 의원이 사흘째 마 후보자 임명을 반대하는 단식을 이어갔는데요, 국민의힘 기재위 소속 의원들은 농성장을 찾아 "박 의원의 단식은 헌법과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마지막 호소"라며 힘을 실었습니다.

권성동 원내대표도 마 후보자 미임명을 이유로 여·야·정 국정협의체 참여를 거부한 민주당을 이렇게 비판했습니다.

<권성동/국민의힘 원내대표> "정쟁과 민생은 분리해서 처리하면 됩니다. (민주당이) 정무적인 문제로 걷어찼기 때문에 민주당만 돌아오면 됩니다."

오후 국회에서는 국정협의회 재개를 논의하기 위해,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로 여야 원내대표 회동이 열립니다.

이 자리에서는 3월 임시국회 본회의 일정과 안건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전망입니다.

[앵커]

여야는 서로를 겨냥한 '사법 리스크' 공세도 이어갔네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을 각각 겨냥했습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최종 판결이 '6-3-3조항'에 따라, 6월26일 이전에는 나와야 한다고 공개 촉구했는데요.

이 대표가 떳떳하다면, '대통령에 당선되더라도 진행 중인 모든 재판을 당당하게 받겠다'고 스스로 선언하라고 압박했습니다.

민주당은 조기 대선과 재보선을 같은 날 치를 수 있도록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가 3월 13일 전에 나와야 한다고 헌재를 압박했습니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상반기 재보궐선거와 조기 대선을 같은 날 치른다면, 절감되는 세금은 367억원에 달한다"며 조속한 선고로 선거 비용을 절감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밖에 이 대표가 지난 2일 "한국에 엔비디아 같은 회사가 생겨, 지분 30%를 국민이 나누면 세금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고 언급한 걸 둘러싼 여진도 계속됐습니다.

'기업 생태계를 이해하지 못한 발언'이라고 국민의힘이 비난하자, 이 대표는 오늘 SNS를 통해 "한국 말도 제대로 이해 못 하니, 그런 수준의 지적 능력으로 어떻게 대한민국을 책임지겠냐"고 반격했습니다.

그러면서 "극우본색에 거의 문맹 수준의 식견까지 참 걱정된다"고 비판 수위를 높였습니다.

국민의힘도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AI 기업의 성장을 위해 추경을 촉구한 이 대표가, 첨단 기업의 지분을 국민에 배분해야 한다고 주장한 건 모순이라며 "입만 열면 거짓말이라는 표현이 결코 과장이 아니다"고 주장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양소리(sound@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