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김규왕 한서대 비행교육원장>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와 관련해 정부가 보잉 737-800기종을 전수 특별점검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참사 원인을 두고 조류 충돌부터 공항 운영의 구조적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김규왕 한서대 비행교육원장과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국토부가 사고 여객기인 보잉 737-800 전수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어떤 부분을 들여다보게 될까요?
<질문 2> 사고 여객기는 사고 전 48시간동안 13차례 운항 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가동률이 높아보이는데, 이같은 운영 방식이 사고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3> 일단 한쪽 엔진에서 화염이 발생하는 영상이 확인되기도 했는데, 엔진 양쪽 모두가 고장 났을 가능성에 대해선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4> 사고기는 동체 착륙을 한 뒤 외벽에 충돌할 때까지 속도가 크게 줄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 동체와 지면의 마찰에도 왜 속도가 크게 떨어지지 않은 건가요?
<질문 4-1> 랜딩기어 수동 개폐 장치가 있었음에도 사용하지 못 했는데 그만큼 상황이 급박했던 걸까요?
<질문 5> 사고기 조종사가 착륙 직전 '버드 스트라이크'를 언급하며 조난신호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조류 퇴치 시설과 인력이 미비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질문 6> 보잉사 매뉴얼에는 착륙 직전 단계에서 조류 충돌이 발생할 경우, 계속 착륙하는게 낫다고 나와있다는데 실제 이런 상황이 발생할 경우 조종사들은 어떻게 대응하나요?
<질문 7> 이번 사고와 관련해 활주로밖에 2m 높이로 돌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참사를 키웠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로컬라이저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인데, 로컬라이저의 용도, 설명 부탁드립니다.
<질문 8> 블랙박스가 모두 회수됐다는 점은 다행이지만 일부 훼손된 부분은 우려가 큽니다. 수거한 블랙박스에는 어떤 내용들이 담겨있고, 또 분석을 끝내기까지는 얼마나 걸릴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