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뉴스1번지] 국회, 상임위 곳곳 충돌…여, 당권 레이스 본격화

정치

연합뉴스TV [뉴스1번지] 국회, 상임위 곳곳 충돌…여, 당권 레이스 본격화
  • 송고시간 2024-06-25 15:59:18
[뉴스1번지] 국회, 상임위 곳곳 충돌…여, 당권 레이스 본격화

<출연 : 김진 전 중앙일보 논설위원·김창룡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

국민의힘이 국회 의사일정에 복귀하면서 22대 국회가 개원 약 한 달 만에 정상화 수순을 밟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임위 곳곳에서 이견이 표출되며 여야가 강하게 충돌했습니다.

한편, 국민의힘 당권 레이스에서 '해병대원 특검법'에 이어 '핵무장론'이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관련 내용 김진 전 중앙일보 논설위원, 김창룡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와 자세히 짚어 보겠습니다.

<질문 1> 국민의힘이 국회로 복귀하면서 상임위 전체회의가 곳곳에서 열리고 있는데요. 법사위에선 시작부터 고성이 오가며 개회 6분 만에 정회했다 속개하기도 했습니다. 신경전 끝에 공영방송의 지배구조를 변경하는 내용의 '방송 3법' 등이 야당 주도로 통과됐는데요. 어떻게 보셨습니까?

<질문 2> 민주당은 '해병대원 특검법'을 6월 임시국회 내에 처리하겠다고 벼르고 있습니다. 여기에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안 법안들을 재추진한단 입장인데요. 또 다시 거야의 법안 강행 처리와 윤 대통령의 거부권이 맞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어요?

<질문 3> 국민의힘 당권주자 4명이 본격적인 세 불리기 경쟁에 나섰습니다. 나경원 의원은 친윤 중심의 외곽 조직인 '새미준' 세미나에 참석했고, 원희룡 전 장관은 경북 지역 당원들과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윤상현 의원은 화성 화재 상황과 관련해 주중대사를 면담했고, 한동훈 전 위원장은 사무처 당직자와 의원실 보좌관들을 만났는데요. 당권 주자들의 행보에 담긴 의미를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4> 6·25 전쟁 74주년을 맞은 오늘, 국민의힘 당권 주자들이 핵무장 관련 메시지를 내놓으며 논쟁이 일고 있습니다. 나경원 의원이 "국제 정세가 급변하고 있다"며 가장 먼저 '자체 핵무장론'을 띄웠는데요. 나머지 당권 경쟁자 3명은 당장 어렵다면서 각자 다른 대북 핵억제론을 제시했습니다. 나 의원이 안보 이슈를 꺼낸 배경, 당권 주자들의 입장,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5>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이 띄운 '해병대원 특검법' 수정안 논쟁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한동훈 대 반 한동훈' 구도로 전개되는 모습인데요. 당권 레이스에 어떤 영향을 미칠 거라고 보십니까?

<질문 6> 대통령실은 한동훈 전 위원장의 '해병대원 특검법' 추진에 당혹스러운 모습입니다. 대통령실 한 관계자는 '한 전 위원장이 이제 반윤이 아니라 절윤'이라며 강한 불만을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질문 6-1> 한동훈 전 위원장은 대통령실의 반응에 "당 대표가 되면 당정관계를 합리적이고 실용적으로 국민을 위하는 방향으로 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또 원희룡 전 장관이 제기한 윤 대통령과 10초 통화설에는 "낭설"이라고 선을 그었는데요. '당정관계'에 대한 한 전 위원장의 입장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7> 이재명 전 대표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정성호 의원이 한동훈 전 위원장의 방안에 대해 "진일보한 것"이라며 "받아들여도 좋다고 생각한다"고 했습니다. 다만 민주당 지도부에선 "지연 전략이자 꼼수"라며 반대 의견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질문 8>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어제 대표직에서 물러났습니다. 사실상 연임 도전을 시사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국민의힘 당권은 4파전으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것과 달리, 민주당은 이 전 대표 이외 뚜렷한 주자가 없어 '일극체제'에 대한 우려가 나옵니다. 이 상황 어떻게 보시는지 궁금하고요. 이 대표 연임이 민주당과 이 대표 대권 가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거라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