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북러 불법 사이버 활동까지…유엔 안보리 공개 압박

세계

연합뉴스TV 북러 불법 사이버 활동까지…유엔 안보리 공개 압박
  • 송고시간 2024-06-21 09:20:01
북러 불법 사이버 활동까지…유엔 안보리 공개 압박

[앵커]

유엔에선 우리나라의 주도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논의가 열렸습니다.

군사 동맹 강화를 선언한 북한과 러시아의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이 도마에 올랐습니다.

뉴욕에서 이지헌 특파원입니다.

[기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사이버 안보 공개회의에선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으로 악명높은 북한에 화살이 쏟아졌습니다.

조태열 외교장관은 유엔 제재를 피해 사이버 위협을 이어가고 있는 북한을 거론하며 안보리 차원의 대응을 강조했습니다.

북한이 가상자산을 탈취해 모은 돈으로 대량살상무기를 개발해왔다는 안보리 전문가 패널의 조사를 인용하기도 했습니다.

앞서 미국 정부는 북한이 2022년 한 해에만 1조원에 달하는 가상자산을 털어갔다고 밝혀, 문제의 심각성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조태열 / 외교부 장관> "북한은 디지털 수단을 통해 유엔 안보리 제재를 체계적으로 회피하고 있고 안보리 업무에 필요불가결한 국제사회의 (핵무기) 비확산 체제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러시아 정보당국이 유럽 각국의 정당을 표적으로 삼고 사이버 활동을 펼쳤다고 주장했습니다.

단순한 정보 수집 차원을 넘어 각국 인프라에 심각한 피해를 준 랜섬웨어 공격자들에게 은신처까지 제공해왔다고 덧붙였습니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 주유엔 미국대사> "러시아 정보당국은 (유럽 해당 국가들의) 정당들과 기관을 표적으로 삼았습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유엔이 뒷짐만 지고 있진 않을 것임을 약속했습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 유엔 사무총장> "유엔 회원국들은 유엔총회의 지원 아래 몇 달 내에 새로운 사이버 범죄 조약에 대해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이버 안보 문제로 유엔 안보리가 대면 회의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북러가 군사 분야 뿐 아니라 사이버 공간에서도 협력을 강화할 거란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연합뉴스 이지헌입니다. (pan@yna.co.kr)

#유엔안보리 #북러 #사이버_활동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