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뉴스초점] 산유국 꿈 이뤄질까…액트지오 "입증방법은 시추뿐"

경제

연합뉴스TV [뉴스초점] 산유국 꿈 이뤄질까…액트지오 "입증방법은 시추뿐"
  • 송고시간 2024-06-08 15:55:46
[뉴스초점] 산유국 꿈 이뤄질까…액트지오 "입증방법은 시추뿐"

<출연 : 권혁중 경제평론가>

미국 액트지오의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은 포항 앞바다에 석유가 가스가 묻혀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습니다.

성공률이 20%에 달해 개발 가능성이 높지만, 시추를 해봐야만 알 수 있다고 하는데요.

자세한 내용 정리해 보겠습니다.

권혁중 경제평론가, 어서 오세요.

<질문 1> 포항 앞바다에 석유와 가스가 있다는 소식에 신뢰성과 가능성 등 여러 의구심이 들었는데요. 어제 기자회견에서 아브레우 고문이 판단 근거를 제시했죠. 어떤 근거들이 있었나요?

<질문 2> 지난 15년간 동해 광구를 탐사하던 호주의 에너지 대기업 우드사이드는 지난해 1월 철수했습니다. 연매출 23조 원인 호주의 '우드사이드'는 발을 뺐는데 미국의 연매출 3,800만 원인 '액트지오'는 정반대의 결론을 낸 건데요. 왜 작은 업체 결과를 믿냐는 의문이 들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질문 3> 산업부는 합병 이슈로 철수한 것이지 경제성이 없어서 손 뗀 건 아니라고 설명합니다. 그렇다면 아브레우 고문이 구체적으로 제시한 증거를 따져봐야 할 텐데요. 먼저 석유·가스 추정 매장량이 최소 35억 배럴에서 최대 140억 배럴까지 차이가 납니다. 왜 이렇게 큰 차이가 나는 겁니까?

<질문 4> 비전문가적인 시각에서 보면 기존의 자료를 바탕으로 했고 또 추가적인 자체 분석을 넣었다고 하지만 매장량이나 전망에서 왜 이렇게 차이가 날까, 쉽게 이해가 되진 않거든요?

<질문 5> 아브레우 고문은 "불확실성은 존재한다"고 하면서 결국 시추를 해봐야 한다고 했습니다. 성공 가능성은 20%라며, 실패 가능성이 80%지만 이건 굉장히 높다는 건데요. 이 수치만 믿고 시추에 착수해도 될만하다고 보세요?

<질문 6> 아브레우 고문은 경제성 있는 탄화수소가 누적된 사실을 못 찾았다는 게 리스크라고 말했습니다. 또 실제로 매장돼 있다고 해도 비용이 얼마인지에 따라 개발 못 한다는 결론이 나올 수 있는데요. 1개의 시추 구멍을 뚫는 데는 약 1천억 원이 소요된다고요. 이 정도 비용을 들일 가치가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7> 액트지오가 믿을 수 있는 업체인가에 대해서도 논란이죠. 아브레우 고문은 회사 주소지가 자신의 집 주소가 맞다며 팀원들이 전 세계로 흩어져 업무하는 형태라고 했습니다. 또 작은 회사가 대형 프로젝트 분석을 담당하는 것도 일반적이라고 밝혔는데요. 의혹을 해소할 만한 설명이었다고 보세요?

<질문 8> 어제 기자회견으로 관련 주가가 큰 폭으로 출렁였습니다. 한국가스공사 주가는 8% 넘게 하락했고요. 그간 폭등했던 에너지 관련주들도 즉각 반응했습니다. 정부의 발표가 너무 섣부른 것 아니냐는 지적인데 어떻게 보세요?

<질문 9> 석유공사는 오는 12월 1차 탐사 시추를 합니다. 시추 작업에 수천억 원의 국고가 들어갈 사업인데요. 다른 업체를 추가로 선정해 크로스체크를 한다든지 시추 작업에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