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접경지역 포 사격 훈련 재개…추가 도발 땐 확성기도

정치

연합뉴스TV 접경지역 포 사격 훈련 재개…추가 도발 땐 확성기도
  • 송고시간 2024-06-04 21:50:40
접경지역 포 사격 훈련 재개…추가 도발 땐 확성기도

[앵커]

9·19 남북 군사합의가 사실상 폐기되면서 최전방 지역에서 포 사격 등 군사 훈련이 다시 시작될 전망입니다.

대북 확성기 카드 역시 합의에 얽매이지 않고, 북한 도발에 대응해 언제든 빼 들 수 있게 됐습니다.

이은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그동안 9·19 남북 군사합의의 제약을 받았던 접경 지역에서의 포 사격 훈련이 다시 시작됩니다.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9·19 합의 효력 전면 정지안을 윤석열 대통령이 재가하면서 훈련 재개의 길이 열린 겁니다.

지침을 받은 각 군은 서북도서 인근 해상 사격과 비무장지대 5㎞ 이내에서의 사격 등 훈련을 북한의 도발 여부와 상관 없이 이르면 이번 달부터 재개할 것으로 보입니다.

<조창래 / 국방부 국방정책실장> "이러한 조치는 그동안 9·19 군사합의에 의해 제약받아온 군사분계선, 서북도서 일대에서 우리 군의 모든 군사 활동을 정상적으로 복원하는 것입니다."

남북 군사 합의를 지키기 위해 후방으로 포를 옮겨서 사격 훈련을 해야 했던 서북도서 해병대원들.

이제는 실제 작전을 해야 하는 연평도와 백령도 일대에서 사격 훈련을 할 수 있어, 더 철저한 대비 태세를 갖출 수 있다는 게 군 당국 설명입니다.

대북 심리전의 핵심으로 꼽히는 확성기 방송은 북한의 추가 도발 여부에 따라 언제든 틀겠다는 방침입니다.

설치 등에 비교적 시간이 걸리는 고정형보다는 이동식 확성기를 먼저 운영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립니다.

우리 군의 직접 대북 전단 살포도 추후 검토할 수 있는 카드 중 하나입니다.

북한이 일단 '오물 풍선' 살포를 조건부로 멈추겠다고 선언했지만, 대북 전단을 추가로 날리겠다는 탈북민단체의 의지는 굽혀지지 않은 상황.

이를 빌미로 북한은 추가 도발을, 우리 군은 맞대응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당분간 남북 간 '강 대 강' 대치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 (ask@yna.co.kr)

#국방부 #남북군사합의 #오물풍선 #대북확성기

[영상취재기자 정재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