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1번지이슈] 난기류 맞닥뜨린 항공기 비상착륙…안전사고 대처법은?

사회

연합뉴스TV [1번지이슈] 난기류 맞닥뜨린 항공기 비상착륙…안전사고 대처법은?
  • 송고시간 2024-05-23 16:46:57
[1번지이슈] 난기류 맞닥뜨린 항공기 비상착륙…안전사고 대처법은?

<출연 : 김인규 한국항공대 비행교육원 원장>

난기류를 만난 싱가포르항공 여객기가 비상착륙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상공에서 5분 만에 급하강한 건데 기내가 심하게 흔들려 승객 1명이 숨지고 수십 명이 다쳤습니다.

그 누구도 예측하지 못하는 난기류에 피해를 줄이려면,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잘 지켜야 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 김인규 한국항공대 비행교육원 원장과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1> 먼저 사고 얘기부터 해보겠습니다. 방콕에 비상착륙한 여객기 외부에는 별다른 사고 흔적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착륙 후 공개된 사진을 보면 기내는 완전히 아수라장이었는데요. 어떤 상황으로 보이십니까?

<질문 2> 사고는 아침 식사 도중 갑작스럽게 일어나 피해가 더 컸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보통 기내 식사 중에는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가 드물죠?

<질문 3> 런던에서 이륙한 지 약 11시간 후 고도 1만 1300m의 미얀마 인근 안다만해 상공을 날고 있었다고 하는데요. 그러다 5분 만에 급강하했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 어느 정도의 난기류가 발생했던 건가요?

<질문 4> 좁고 바람이 강하게 부는 제트기류 부근에서 발생하는 난기류는 기상학자들도 예측하기 어려운 기상 현상이라고 하던데요. 난기류로 인한 사고는 사전에 아무런 기상 경고가 없는 경우도 꽤 있다고 하던데요?

<질문 5> 실제로 이번 사고처럼 난기류로 비행기 탑승객이 숨지는 사례는 아주 드물다고 하던데요? 이번 사고 사망자 역시 사고 당시 안전벨트를 했다고 하는데, 사망 이유는 뭐죠?

<질문 6> 해외 매체에 따르면 미국에서만 매년 약 6만5000대의 항공기가 난기류를 경험한다고 합니다. 문제는 기후변화로 이런 난기류가 점점 자주 발생할 거란 예측이 나오는데요.?

<질문 7> 사고가 발생한 영국 런던발 SQ321편 여객기는 보잉 777-300ER 기종이었다고 하는데요. 이 기종은 실제 여객기로 많이 사용되고 있죠?

<질문 8> 보잉 777-300ER 기종의 경우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발생한 아시아나항공 착륙 사고 당시 그 비행기죠? 최근 보잉기에서 잇따라 사고가 나면서, 혹시 기체 결함 영향도 있는 것 아닌가, 일각에서 이런 가능성도 제기되는데요?

<질문 9> 기내에서는 화장실을 가거나 할 때 외에는 거의 모든 순간에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게 정답이겠죠? 난기류를 만났을 때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켜야 할 기본적인 안전수칙으로는 어떤 게 있을까요?

<질문 10> 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보다 이동 가능성이 높은 승무원들은 부상 위험이 더 크지 않을까요? 승무원들을 위한 대책도 필요해 보이는데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